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d라이브러리
"
기준
"(으)로 총 2,91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
과학동아
l
198708
내수면어업은 모두 5백61개소 9백74.8ha의 면적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85년말
기준
). 이중 뱀장어(1백 14개소 65.5ha) 잉어(2백 32개소 7백67.1ha) 무지개송어(74개소 29.8ha) 향어(80개소 70.2ha)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내수면어업의 생산량은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85년도의 경우 5만3천64t을 ...
안정감 높은 네바퀴회전(4WS)승용차
과학동아
l
198707
이에 비해 미국 포드의 '텔스타'나 마쓰다의 '카페라'는 전자장치를 이용해 차의 속도를
기준
으로 앞·뒷바퀴가 반대 방향 또는 같은 방향이 되도록 했다. 이처럼 접근방법은 다르지만 실제 효과는 비슷했다고 한다 ... ...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07
70~85%로 대동소이했다. 이식(移植)은 속잎이 3~4매 됐을 때 화분에 심고 온도는 20도를
기준
으로 관리한다. 이때 5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조심하면 외래종 화초보다 어렵지 않게 기를 수가 있다. 5월 상순경 서리의 피해가 없어지면 화단에 심고, 웃자라는 것을 잘라주면 곁가지가 많이 나오고 6월 ... ...
넘실대는 전자파의 위험
과학동아
l
198707
보사부 환경청 경제기획원등 모든 관계기관이 협력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유효한
기준
을 마련해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예술의 경지에 이른 도청 기술 마이크로웨이브는 주소 미대사관의 도청문제로 화제가 됐다. 과연 오늘날의 하이테크 도청방법은 어떤것일까. 이것은 소련 KGB나 미국 CIA의 ... ...
중앙기상대장 손 형 진
과학동아
l
198707
20km가 넘으므로 같은 서울에서도 얼마든지 날씨가 다를 수 있읍니다. 어느 한 지역을
기준
으로 10km나 1백km 범위의 기상은 수시로 변화하므로 그 수명도 짧습니다. 한마디로 변덕장이지요. 따라서 지역을 좀더 세분해서 일기예보를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겁니다. 우리도 현재 고속도로라든가 해수욕장 ... ...
PART1 오염의 실상
과학동아
l
198707
하기 힘들다. 공동의 협동적 노력으로 이를 개선,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현재 음용수
기준
에는 중금속류 등 몇가지로 국한되어 있으나, 선진국에서 개시한 것과 같은 '위해성 화학물질'(Suspected hazardous chemicals)에 대하여도 그 건강상 위해성(Health risk)을 평가하여 음용수중의 위해물질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07
것은 아니다. 몸안에 들어간 식품첨가물은 때로 급성 부작용을 일으킬 수고 있고 허용
기준
치 이하의 양이라도 두고두고 섭취해 쌓이게 되면 만성중독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첨가물들이 몸안에서 섞여 이른바 복합오염을 초래, 독성의 상승작용을 불러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
S/W 개발비 산정
기준
에 관한 건의
과학동아
l
198707
근거를 마련토록 소프트웨어 육성법(안)에 추가 건의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비 산정
기준
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도 연구조합에서 조만간 착수할 예정이다. (문의처 274-4654 ... ...
최악의 공해에 최소의 대책도 없어
과학동아
l
198707
석면 허용
기준
이다.
기준
자체는 선진국처럼 0.2개/㎤로 정해 놓았으나 실제로 그
기준
을 지키고 있는지는 매우 의심스러운 실정이다. 관계 행정당국에 따르면 최근 몇년간 산업장내에서의 석면 분진 농도를 조사한 적이 한 번도 없으며 올해 안으로 노동과학연구소와 몇몇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07
화합하여 발암물질인 염소화합물이 되는데 이에 대한 규제대책이 없고 유기물규제
기준
도 허술하다. 당국은 늦기전에 이에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까지 지적하고 있다. 시민은 '수도물은 시민의 생명수이고 시민은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여전히 '안심할 수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