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학계에서는 반도체 회로 자체의 주파수 특성 등을 이용해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 설계 기술을 활발히 연구 중이다. 연구팀은 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해 1.2V의 전압을 생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 교수는 “회로의 주파수 특성은 저항(R)과 전기용량(C)에 의해 결정되는데, 두 값을 잘 조정해서 ... ...
- Part 3. 암호화폐 둘러싼 소문4, 진위 확인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사용하게 할 뿐, 암호화를 하는 건 아니다”라며 “만약 해킹을 당한다면 컴퓨터 보안 기술을 이용해 해커의 가명과 실명을 일정 수준으로 유추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익명 암호화폐는 이 과정이 불가능하다. 또 믹서 서버는 암호화 된 주소마저 무작위로 섞어버린다. 가령 A, B, C라는 사람이 10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존중, 갈등 관리 등을 실천하고 느낀 점을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해 구체적인 에피소드를 기술하면 된다. 이때 자신의 개성과 장점, 단점을 극복한 노력이 드러나도록 작성해야 한다. 자기소개서는 그만큼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작성해야 하며, 이를 작성하는 연습도 필요하다. 지원자들의 ... ...
- Part 2. 스키 로봇 챌린지의 도전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번 대회에는 우리나라의 총 8개 팀이 참가해요. 첫 대회인 만큼 각 팀이 가진 독특한 아이디어가 돋보일 것으로 기대되지요. 스키 로봇 챌린지의 참가 선수들을 먼저 만나 볼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인공지능으로 씽씽! 스키 로봇 챌린지Part 1. 로봇들의 겨울 축제, 스키 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ED 스탠드를 만들어 보자! 적정기술 연구센터 핸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마을을 위한 기술을 연구하는 핸즈안으로 들어서자 각종 공구와 나무 판자들이 눈에 띄었어요. 작업 중이던 ‘마을기술센터 핸즈’의 정해원 ... # 핸즈에서는 햇빛 건조기, 햇빛 온풍기 등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어요. 적정기술에 관심이 많은 친구들, 핸즈(handz.or.kr)로 놀러 오세요~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opening during structural failures in earthquakes and other catastrophes.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기술도 유용하다. 시스데브(SysDev)라는 이탈리아 기업은 ‘건축구조물의 블랙박스’라고 부르는 무선 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를 이용해 건물의 구조적인 진동을 측정해 클라우드 플랫폼에 전송하 ...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작년 말에야 최종 완성돼 코스를 익히기 어려웠다. KT와 한국스포츠개발원 연구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선수들이 실제 트랙을 주행하는 것처럼 훈련할 수 있는 ‘루지 시뮬레이터’를 2016년 개발했다. 루지 시뮬레이터는 전자 센서가 부착된 루지 썰매와 50인치 디스플레이, 그리고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신뢰할 만한 실험 결과가 없었다. 과학으로 ‘브레이킹 포인트’ 찾는다연구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레이저로 거리와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휴대형 장비를 개발했다. 레이저를 쏜 뒤 컬링 스톤에 부딪혀 되돌아온 신호를 받아서 거리를 측정하고, 스톤이 지나가는 동안 속도를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는 오염물질 포획 방법 연구를 맡았고, 각각 3D 프린팅을 개발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을 담당하는 등 역할을 나눴다. 샤르마 씨는 배기가스를 포집하기 시작한 계기에 대해 “지오데식 돔(삼각형으로 표면을 만든 반구형 건축물)으로 유명한 미국의 건축가 버크민스터 풀러의 말에서 영감을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어도 적시에 이식하지 못해 버려지는 장기만 60%에 이른다. 휴먼하이테크 최고기술책임자(CTO)인 김시윤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연구교수는 “3년 내 이식용 냉동 장기의 성공 사례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식용 장기는 냉동인간을 실현하기 위한 긴 여정 중의 하나”라고 말했다 ...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