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물과 양분을 완전히 숙주에 의존한다. 실처럼 가늘며 노란빛을 띠는 실새삼(아래사진)이 대표적이다. 실새삼은 숙주 식물의 줄기를 돌돌 감은 뒤 양분과 물을 약탈해 간다. 밭둑이나 풀밭에서 자라며 우리나라 도처에 분포해 있다. 콩밭에 큰 피해를 주기도 한다.독소를 내서 자기 영역을 방어하는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일부러) 코브라를 흉내 낸다는 것이다. 코브라와 느림보원숭이의 형태(왼쪽 위 사진 참조)가 유사한 데다, 느림보원숭이가 위협받을 때 내는 ‘쉬익 쉬익’하는 소리가 코브라가 위협받을 때 내는 소리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둘의 서식지도 겹친다.노련한 사냥꾼들이 다른 이에게 방해 받지 않고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만들기도 한다. 바다를 가로지르는 다리 중 가장 긴 중국의 ‘자오저우완 대교(오른쪽 사진)’는 다리의 일부 구간은 사장교, 다른 구간은 현수교 형태로 만들었다.올해 완공 예정인 터키의 ‘보스포러스 제3대교(위 사진)’ 역시 사장교와 현수교를 합친 형태다. 다만, 자오저우완 대교와 다른 점이 ...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뒤 사진들을 보정하고 종합해야 한다. 더구나 치아 임플란트나 인공 관절을 쓴 경우는 사진을 수학적으로 변환해 처리하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게 현재 의료 영상 분야에서 큰 화두다.김상연 마지막으로 한국의 수학 연구 수준이 궁금하다. 외국에서는 수학에 대한 관심도 높고 취직도 잘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올라서게 되리라는 사실을. 이름 몇 개를 가만히 들여다보았다. 그 중 몇몇은 벌써 최근 사진을 찾아서 체형을 짐작해 보기까지 했다. 은경은 전화기를 가만히 내려놓았다. 자신도 모르게 한숨이 새어나왔다.‘외할머니는 왜 그런 짓을 한 거지? 운명을 너무 믿으신 건가? 하지만 외할머니 본인은 ...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찾아볼 수 있는 *관목식물이에요. 진달래의 ‘사촌’에 해당하는 산철쭉과 철쭉(배경 사진)도 진달래처럼 우리나라 어디서나 자주 볼 수 있어요. 숲 가장자리의 양지 바른 곳, 산지의 키가 큰 나무 아래, 능선 위의 들판이나 관목림 등 다양한 환경에서 씩씩하게 살아간답니다. 정원수로 사랑받기 ... ...
- OUTRO. 우리는 과연 진짜일까?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업체인 오큘러스를 인수하면서 더 많은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아직은 페이스북에서 사진과 영상을 친구들과 공유하는 것만 가능한데 앞으로는 혼자 해외에 여행을 가도 가상현실을 이용해 한국에 있는 친구와 공유하는 게 가능할지도 모른다.현실과 구분 가능할까?‘인셉션’은 꿈이라는 가상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GO? 우리는 PolyGOn!박물관이나 전시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경고문 중 하나는 바로 ‘사진 촬영 금지!’예요. 설사 금지가 아니더라도 스마트폰를 손에 쥔 채 우르르 몰려다니는 관람객들을 좋아할 전시관은 없어요. 그런데 이미 스마트폰은 하루라도 없으면 불편한 우리 삶의 일부잖아요. 그런 ... ...
- [과학뉴스] 철새의 졸음비행…괜찮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아래 사진)는 바닷새임에도 수영이나 잠수를 못한다. 깃털에서 분비하는 기름이 적어서 바다 위에 떠 있는 경우도 거의 없다. 대신 최고의 활공 능력을 갖추고 있다. 최고 시속 400km로 최장 2개월까지 쉬지 않고 날 수 있다. 여기서 의문 하나, 그럼 잠은 언제 잘까.독일 막스플랑크 조류연구소 닐스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460만 년 전, 해저지각의 틈새로 뜨거운 마그마가 분출되면서 독도가 탄생했다. 덩치 큰 제주도, 울릉도가 생기기도 전이었다. 이런 독도에게, 풍화와 침식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운명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최대한 오래, 변함없이 지켜주고 싶은 마음에 과학자들이 나섰다. “여기가 ‘깔딱 고개’ ...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