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 얼굴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제자를 뽑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관상을 보고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18
세기
말 베스트셀러인 ‘관상학’을 쓴 라바터는 ‘굽은 눈썹=무기력한 어린시절’ ‘넓은 미간=따스하고 개방적인 성격’ 이라는 ‘공식’을 만들었다. 이들의 얘기를 믿어도 될까. 과학으로 관상 보는 법이 ... ...
라식수술 부작용 줄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안과병원에서 라식수술용 레이저의 성능을 시험하기도 했다.정 박사는 “특히 레이저
세기
를 재는 기계(ECPR)는 연구원이 보유한 광도원기(극저온 절대복사계)를 이용해 출력의 표준을 가늠한다”고 말했다. 광도원기는 ECPR 같은 장비에서 나오는 레이저의 에너지를 내부물체(흑체)가 흡수할 때 ... ...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돌며 탄생과 소멸을 되풀이한다.기독교에서도 힌두교와 비슷한 예를 찾을 수 있다. 14
세기
이탈리아 화가 피에로 디 푸초가 그린 프레스코화에는 원형의 우주를 감싸안고 있는 하느님의 모습이 잘 나타나있다. 15
세기
이탈리아의 화가 지오반니는 ‘천지 창조와 낙원추방’에서 신성한 우주인 ... ...
엘리베이터 안에서 휴대전화 '먹통'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방향은 곧 양전하가 받는 힘의 방향이므로 전기력선의 접선 방향이다. 전기장의
세기
는 전기력선이 단위 면적당 얼마나 많이 지나가는지로 알 수 있다. 즉 전기력선이 촘촘한 곳에서는 전기장이 세고, 전기력선이 성글면 전기장이 약하다.또 어떤 공간 속에 전하들이 어떻게 분포돼 있는지는 몰라도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역사 속의 인물들을 만나 보자.세계 최초의 세계 지도를 만든 ‘헤카타이오스’기원전 6
세기
경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당시로선 드물게 세계의 지리와 역사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현재의 이집트, 서남 아시아 등을 여행한 후 ‘세계안내기’ 를 만들었으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최초의 세계 지도인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결정의 하나 실제로 결정은 이상적인 결정과는 달리 약간 불완전성이 있는데, X선의 반사
세기
측정 등에 의해 결정 내부의 넓은 부위에 걸쳐 원자배열이 기하학적으로 불완전하고 방위가 약간 다른 1μ 정도의 블록으로 되어 있다고 보는 견해가 있었다이것을 모자이크 결정이라고 한다식물 병해의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막연했던 미시세계도 그려볼 수 있다. 레이저의 경우 동일한 파장의 빛이 일정한
세기
와 방향으로 나아간다. 레이저의 이런 성질을 ‘결맞음성’이라고 하는데, 일사불란하게 발맞춰 걷는 군인을 떠올리면 된다. 찰나의 순간, 번쩍하는 레이저 섬광이 물체에 부딪친 뒤 되돌아오는 신호를 이용하면 ... ...
신(新) '세계 7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피라미드를 제외한 나머지 6개는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사라져 남아있지 않다. 2001년 21
세기
현대인의 감수성에 맞게 세계 7대 불가사의를 새로 정하자며‘새로운 세계 7대 불가사의’(N7W) 재단이 설립됐다. N7W 재단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문화유산 830개 중에서 전문가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21개의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반도체칩의 표면온도는 20년 이내에 태양 내부온도인 100만℃에 이르게 된다.”21
세기
프런티어사업단의 하나인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의 이조원 단장은 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현재는 손톱 크기 정도의 반도체칩에 트랜지스터 10억개가 들어간다. 만약 같은 크기 안에 트랜지스터를 1조개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가장 강력하고 복잡한 의사소통 신호라 불린다.표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19
세기
과학자들은 외부에서 어떤 자극이 생기면 이에 따라 생리적인 반응이 나타나고 이 반응을 감지해 감정이 나타난다고 생각했다.이를테면 긴장하기 때문에 손에 땀이 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자극으로 손에 땀이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