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원?배양육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지만 상용화까지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비용이다. 포스트 교수가 연구결과를 발표할 당시 패티 한 장을 만드는데 무려 30만 달러(약 3억3800만 원)가량이 들었다. 근육세포 배양에 필요한 배지가 매우 고가이기 때문이다. 다만 배양 기술이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플라스마 상태를 안정적으로 수백 초 유지해야 한다는 기술적 난관이 불안감의 가장
큰
요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중국 등이 ITER에 기대를 거는 이유는 핵융합에너지의 가능성 때문이다. 핵융합에너지는 지구에 풍부한 수소를 연료로 활용한다. 중수소(D) 1g과 삼중수소(T) 1.5g이면 석탄 20t과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생각해요. 하지만 항상 포식자를 경계하는 습성 때문에 토끼는 예민한 편이에요. 갑자기
큰
소리가 나면 저 멀리로 도망가 버리기도 하고, 낯선 사람이 다가오는 등 위협을 느끼면 공격적인 행동을 하지요. 따라서 보호자는 토끼의 행동을 잘 관찰해 기분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해요. 뒷발을 여러 ... ...
자연을 아우르는 절대 수식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무늬이고, 호랑이는 길쭉한 줄무늬입니다. 얼룩소는 점박이긴 하지만 치타랑은 다른
큰
점박이 무늬이지요. 이처럼 동물마다 무늬가 다른 이유에 많은 학자가 의문을 품었고, 이유를 찾아내려고 했습니다. 튜링도 동물마다 무늬가 다른 이유가 궁금했습니다. 다만 튜링은 동물의 무늬 패턴이 ... ...
[수학뉴스] 우주에선 중력파로 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떨어지게 됩니다. 특히 문자 그대로 ‘천문학적’ 시공간을 이동하는 우주에서는 더
큰
문제가 되죠. 연구팀에 따르면 중력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은 왜곡이나 전송 기능 저하 없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고 합니다.마르코바 연구원은 “중력파와 같은 파동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 ...
[수학뉴스] 잠자리 날개 무늬, 진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닮았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만들어지는 과정은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수학이
큰
역할을 하는 게 아닐까요? 이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9월 17일 자에 실렸습니다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분수를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할 수도 있어요. 수학의 가장
큰
매력은 같은 수학을 완전히 다른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초콜릿 분수 문제는 떨어지는 초콜릿으로 과자를 코팅하는 초코바를 만들 때도 쓸 수 있지만, 동시에 초콜릿이랑 조금도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태양전지에 센서 결합 “태양광 발전은 전기를 생산한 곳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입니다. 건물에서 생산한 전기로 건물 주차장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등 활용할 방법은 무궁무진합니다.”세계적인 하이브리드태양전지(페로브스카이트) 연구자인 석상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만큼 크다. 한번 삽입하면 유선으로 충전할 수 없는 탓에 기기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큰
배터리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또 7~10년마다 배터리가 다 닳으면 기기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때 기기와 수술비만 3000만 원 가량 된다. 박 책임연구원은 “몸속 인공 심박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면 배터리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마치 자석에 철가루가 끌려가듯이 초점 위치에 잡히게 돼 있어 빛의 초점(약 1μm)보다
큰
입자는 정교하게 집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의 초점을 스캐너, 홀로그래피 등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서 입자도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다. 원하는 장소에서 입자를 떨어뜨리려면 레이저를 끄기만 하면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