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질긴 바닷가재 배 보호막으로 고무 만들까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딱딱한 껍질로 이뤄진 바닷가재의 배 부위 관절에는 부드러우면서도 질긴 막이 존재한다. 이 막은 질기고 씹기 어려워 포식자가 사냥을 ... 23MPa(메가파스칼)의 압력도 견뎠다. 밍 교수는 “이런 성질을 고무나 보호구를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doi:10.1016/j.actbio.2019.01.06 ... ...
김빛내리|인간이 풀지 못한 세포의 비밀 프런티어 과학자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교수는 “대한민국은 교육열이 높고 인적자원 수준이 높아 이공계의 발전 가능성이 큰
데
비해 낙관적인 전망은 많지 않다”며 “그것을 극복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여성 과학자들의 롤모델로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그 역시 출산을 하고 1년 6개월간 전업주부로 생활하며 처음이자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사람들의 도움을 비교적 쉽게 받는 편이에요. 과학자로도 정치인으로도 여기까지 오는
데
특별히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모두 좋은 사람들을 만난 덕택이었죠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않았습니다. 반례를 찾아서 거짓임을 증명하는 것은 우주에서 모래를 찾는 일처럼 어려운
데
언뜻 보기에 ‘연속 함수는 미분 가능하다’는 명제는 당시 수학계에서 명백하게 여겨졌기 때문이죠. 톨은 자신의 논문에서 블랑망제 함수의 의의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연필을 들고 따라 그려보면 ... ...
[지구사랑탐사대] 신입팀이 5종이나 수료한 비결은? HELE-B4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내년에도 지사탐 활동을 할 생각이에요? 네! 7기에서는 6종 모두 수료하는
데
도전할 거예요. 리더 팀들처럼 주제를 좁혀서 깊고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보고 싶기도 하고요. 지사탐 활동은 큰 목표보다는 작은 목표를 세우고 지속적으로 해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여러분도 힘내서 꼭 도전해 ... ...
Part 3. 플라스틱의 숙제, 함께 풀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보여 줬거든요. 그런
데
도 이걸 실제로 본 순간 정말 큰 충격을 받았답니다. 태평양 한가운
데
에 있는 미드웨이섬에 플라스틱을 먹고 죽은 새들이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지요. Q 작품을 통해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사람들이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고 싶어요. 제가 찍은 새의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대해 잘 모른다. 일제의 과학에 압도당한 나머지 우리의 과학이 크게 가려진 면이 있었던
데
다가, 그나마 이들 중 해방 직후 북으로 간 사람들의 업적에 대해서는 애써 외면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그동안 시간이 꽤 흘렀음에도 식민지 시절의 억압과 남북 분단이 초래한 상처는 여전히 우리 과학사에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이온온도 1억 도 달성은 향후 국제핵융합실험로에서 진행될 핵융합 반응 실험에 중요한
데
이터가 될 것”이라며 “이제 핵융합 연구는 ‘꿈의 인공태양’이 아니라 현실과 가까워지는 인공태양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아이들은 자신이 다 컸다고 생각한다”며 “청소년기는 감정의 격동기라고 이야기하는
데
, 이 감정에 공감해주는 사람이 너무 적다”고 말했다. 김 간호사에 따르면 자해 청소년은 힘들다는 말을 많이 한다. 어려운 환경에서 자라는 경우도 많다. 이 때 주변에서 꾸준히 지지와 공감을 표하면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강화학습을 통해 인접한 아미노산이나 짧은 서열조각 사이의 진화적 규칙성을 찾는
데
집중한다. 학계에서는 인접한 아미노산의 관계가 진화적으로 연관된 여러 단백질에서 보존된다고 본다.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양극(+)을 띠는 아미노산은 음극(-)을 띠는 아미노산과 서열상 인접해 있을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