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변신의 달인. 비타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어떤 기능을 하는지 따라가 보자.❶ 비타민 D의 원료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피부
아래
에 숨어 있다.❷ 햇빛에너지를 먹고 비타민 D로 변신!❸ 비타민 D는 피 속에 섞여 간까지 이동한 뒤, 칼시디올로 두 번째 변신한다.❹ 간에서 나온 칼시디올은 호르몬처럼 몸 속을 돌아다니다 면역세포 앞에서 ... ...
고슴도치 섬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걸어 다닐 수 있다고? 이 신비로운 현상은 바로 밀물과 썰물이 만들어 낸 마법이다. 물
아래
잠긴 섬과 섬 사이의 땅이 다른 곳보다 높으면 썰물 때 물이 빠지면서 물 위로 드러나게 되고, 이 때 사람이 걸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오른쪽 페이지 사진). 하지만 밀물이 다시 들어오면 물 속으로 잠겨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효과 만점이네! 더운 공기는 가벼워 위로 올라가려는 성질이 있고, 차가운 공기는 무거워
아래
로 내려오려는 성질이 있으니 말야. 그렇다면 흰개미집의 구멍 대신 우리 집에 있는 창문을 이용해 바람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곧바로 실험에 도전해 봐야겠어! 도전! 우리 집 바람길 찾기-실험 내용: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덮고 있었던 거야. 2003년 미국 오리건 주에서 발견된 뿌리 썩음 곰팡이인 ‘아밀라리아(
아래
사진)’는 여의도 면적의 약 3배인 890만㎡에 균사를 펼치고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어. 나이는 2400살에 무게는 605톤이나 됐단다. 지구에 살고 있는 동물 중 가장 큰 동물인 대왕고래도 길이 32m에 무게는 190톤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이룬다. 그런데 잎의 옆면은 위로 볼록하게 휜 비대칭이다. 옛날에 원시 식물의 잎은 위
아래
가 대칭을 이루는 원통 모양이었다. 하지만 빛을 더 많으려고 빛을 받는 쪽인 앞면이 더 넓어지면서 잎이 위로 볼록해진 것이다. 실제로 빛을 받는 앞면엔 책상조직이 꽉꽉 들어차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듯 하늘 높이 솟아 오른다. 창 밖으로 보이는 땅이 점점 멀어지면서 이윽고 산과 구름도
아래
로 사라지고 검은 우주를 배경으로 둥근 지구의 윤곽이 드러난다. 그리고 들려오는 안내원의 목소리. “잠시 후 우주 정거장에 도착합니다.” 우주엘리베이터는 말 그대로 우주까지 솟구쳐 있는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부분을 ‘산입구(mountain foot)’라고 해서 생물이 살기 좋은 지형으로 본다. 하지만 남산
아래
에는 사람들이 일찍부터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 흐르던 물줄기도 메워졌다. 물이 풍부한 산입구에 살던 저지대 생물은 어딘가 다른 지역을 찾아 떠날 수밖에 없었다.생물다양성은 크게 종 다양성, 유전적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직접 실험을 했다. 먼저 평범한 여성 60명의 정면 사진을 같은 장소와 같은 조명
아래
에서 찍었다. 그는 60명의 얼굴을 섞은 ‘평균 외모’를 만들고, 60명 중에 예쁜 15명만 골라 얼굴을 섞어 ‘매력외모’를 만들었다. 페렛 교수의 눈에도, 다른 사람의 눈에도 ‘평균 외모’보다는 ‘매력 외모’가 ... ...
완전수 6이 벌이는 신사 스포츠, 배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경기가 중단돼 관중이 흥미를 잃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런 이유로 고의성 없이 네트
아래
쪽을 건드리거나 상대방의 공격을 막기 위해 손이 네트를 넘는 경우는 반칙이 아닌 것으로 바뀌었다.최근 배구가 25점 랠리포인트제를 도입해 경기시간을 줄인 것에도 합리성이 숨어 있다. 기존에는 서브를 한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이들의 생각을 읽어내는 기술을 갖고 있다.실버버그 교수에 따르면 산타는 북극의 눈
아래
에수 km2의 거대한 안테나를 감춰 놓았다. 이 거대 안테나는 현재 먼 우주를 들여다볼 때 쓰는 통신기술과 휴대전화 통신기술을 모두 동원해 만들었다. 산타는 이 거대 안테나를 통해 어린이들이 생각을 할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