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d라이브러리
"
영역
"(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별이 너무 많아서 행성X가 있다해도 찾아내기 힘든 은하중심만 빼고는 거의 우주전
영역
을 조사했다. 그는 "설령 행성X가 내가 조사하지 못한 은하수 가까이 있다해도 IRAS의 조사나 어떤 광학(optical)적인 관찰로도 발견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그러나 로빈슨과 해링튼 두 사람의 ... ...
(1) 컴퓨터를 가전제품처럼 쓸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키보드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서 그림조각(아이콘)을 선택하거나 화면의 사각형
영역
을 윈도로 정의해 그 크기와 개수, 위치를 마음대로 조정하면서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사용자와 컴퓨터의 대화방식을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라고 한다. 이러한 대화방식은 책상 위에 여러가지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근세에 접어들어 프로이트와 융이라는 위대한 정신분석학자들에 의해 임상적인
영역
에서 그 실재성이 확인되기에 이르렀다.융은 그에게 정신치료를 받는 환자들과의 정신적 교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많은 경험을 통해서 숙지하고 있었으며, 그는 인간이 생활하면서 명백히 비인과적으로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싶은 것은 지금까지 컴퓨터 연구에서 철저하게 무시되고 다분히 의도적으로 배제된
영역
을 우리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긴박감과 그것을 유연하게 수용할 개방된 사고가 요구되기 때문이다.5세대까지 컴퓨터 과학의 전제는 모든 것을 수로 환원시킬수 있다고 본 괴텔과 완전히 기계적인 ... ...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사람들이 정의내리는 SF는 무엇인가. 회원들은 누구나 'SF는 이런 것이다'라고 한마디로
영역
을 구분하거나 정형화해서 얘기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회원들 내에서도 과학기술적인 묘사를 충실히 해야한다는 입장이 있는가 하면 SF니까 소재를 어떤 과학적 기자재로 해야 한다는 유의 강박관념은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위해 움직이는 것처럼 되는 것이다. 이 이동하는 위성에 의해 이리듐 시스템이 지구 전
영역
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이다.체계가 비슷하긴 해도 이전에 사용하던 휴대용 전화기를 이리듐 시스템에서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는 새로 이리듐 휴대용 전화기를 구입해야 하며 가격은 3천5백달러(2백5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도달할 수 없는 비경으로 간주돼 왔으며, 인공위성이 날고 있는 현대에도 여전히 미지의
영역
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인간은 옛날부터 바닷속을 보고 싶은 호기심이 강했다. B.C.332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대왕은 유리통속에 들어가 깊은 물속에서 사흘간 지냈다고 한다. 그로부터 2천여년이나 지난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도달한다. 그리고 두가지 사건형태에 스위치가 켜진다. 세포들은 CAMP의 좀더 높은 농도의
영역
으로 움직이는데 시약에서 파동무늬와 같이 대단히 잘보이는 밀도의 무늬를 나타낸다. 모여드는 과정은 신호를 증폭할 세포의 능력에 따라 가속된다. 상전이의 특성'아사'라는 구속에 반응해 새로운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일종. 요즘은 고분자의 성능이 워낙 우수해 각종 산업용제품은 물론 자동차 항공기의
영역
에까지 널리 응용되고 있어 현대를 고분자 시대라 부르기도 한다.고분자는 분자량이 5만 이상인 것을 말한다. 분자량이 적은 기체나 액체상태의 단량체를 화학적 방법으로 새끼꼬듯이 엮어서 거대한 고분자를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최근 개발되고 있는 청음센서는 인간의 가청주파수보다 훨씬 높은 초음파
영역
(보통 수만 Hz까지)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말하자면 텔레비전영화에 나오는 '원더우먼 소머즈'도 이와 같은 고성능센서기술이 탄생시킨 셈이다.인간이 개발하기에 매우 어려운 계측기술도 있다. 우리의 코와 혀를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