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는 해상교통관제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맞아요! 더구나 인천항은 연안부두에 소형 선박도 많이 찾아오기 때문에 바다에 관한
정확
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래서 인천지방해양항만청에서는 관제센터를 세워 각 나라에서 오는 배에게 정보를 주고 있지요. …그러고보니 명예기자들이 저에게 그 사실을 알려 주려고 항구로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음파를 이용한하고 있다네!”아무래도 이번 수사는 장기전이 되겠군. 꽃매미의 정체가
정확
히 밝혀져야 확실한 대책도 세울 수 있으니 말이야. 명탐정 P의 명예를 걸고 꽃매미의 정체를 반드시 밝힐 테니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꽃매미에 관심을 갖고 관찰하길 바란다. 그리고 꽃매미에 대한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박사는“신호를 받은 직후부터 뇌의 전전두엽과 선조체에 있는 신경 일부가 초시계처럼
정확
히 0.05초마다 활성화됐다”며“뇌에서 행동과 학습에 관여하는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수초 동안 지속됐다.연구팀은 전두엽 피질에 이상이 생겨 움직일 타이밍을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 우연한 마음 |데이비드 린든 지음 | 김한영 옮김 |시스테마 | 269쪽 |1만 7000원“‘이것’은 몸무게의 2% 정도에 지나지 않으면서 총에너지의 20%를 소모하는 ... 질병에 걸리며 정신적으로 약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남자와 여자의 육체적, 정신적인 차이를
정확
한 과학적인 근거로 설명한다 ... ...
수능 가중치 유리하게 활용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수밖에 없다. 자신의 수능 영역별 표준점수와 백분위, 등급은 수능 성적이 나와야
정확
하게 알 수 있지만, 가채점 결과에 의한 각 영역별 원점수와 예상 등급을 토대로 미리 지원 범위를 예상해두도록 한다. 수능 성적이 발표되면 다시 영역별 성적을 분석해 각 군별로 지원 대학을 선택해야 한다. ... ...
[교과연계수업] 새해맞이, 달력은 어떻게 만들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다시 자정이 되면 하루가 끝나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지구의 자전 속도를 계산해 아주
정확
한 하루의 길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구의 잔전 속도가 서서히 변해 생기는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때때로 1초씩 더하거나 빼 주기도 하지요.두번째 공정 일주일을 만들자하루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봤으니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질환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고 생각하나 보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에게 독소가
정확
히 발견된 적도 없고 실험적으로 입증된 적도 없다.물론 내가 태어나는 과정을 잘 살펴보면 정상적으로 바깥에 나가는 일이 사람의 건강에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우선 우리가 만들어지기 전단계인 유미를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해부학적 구조를
정확
한 영상으로 나타내는 CT의 장점을 융합했다. 몸속에서 기관이
정확
히 어디에 어떻게 위치하는지 세밀하게 그려진 영상에서 질환이 있는 부분을 콕 짚어내는 셈이다.만약 흰쥐가 어떤 질환에 걸렸는지 진단하려면 먼저 마취를 시키고 꼬리의 정맥에 방사성 의약품을 주사한다.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관악기일까해금은 6세기경 중국 요하 상류지방에 살던 유목민족인 해족(奚族)의 악기다.
정확
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당나라 이후 중국 본토에 전해져 전통음악에 널리 쓰였고, 당나라 사람들은 이 악기를 ‘해족이 사용한 현악기’란 뜻인 해금(奚琴)으로 불렀다.민간에서는 독특한 음색 때문에 ... ...
서울대 논술 어떻게 대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원리에서 핵심만 읽어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때 모델링이나 도식화를 이용하는 것도
정확
하고 압축적으로 독해하는 데 좋은 방법이다. 특히 서울대는 과학 현상을 수리적 도구로 분석하는 유형이 자주 출제된다. 교과서에 등장하는 개념을 모른 채 논술을 준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하지만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