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물 찾아 떠나는 거울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60˚라면 각 맞닿고 있는 두장의 거울 주위에는 여섯개의 무늬가 대칭을 이루고 다시 맞은
편
거울에서도 연속적으로 대칭무늬가 만들어진다. 이를 통해 수많은 상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이런 만화경의 원리를 이용해 모험이와 슬기는 적은 양의 금가루를 많은 양인 것처럼 보이는데 성공해서 보물의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있다. 오리온자리의 삼태성(三太星)은 일본사람들이 서양별자리를 받아들이면서
편
의상 오리온 사냥꾼의 허리띠를 이루는 세별이 인상적이라서 세개의 큰 별이라는 의미로 붙여놓은 듯하다. 물론 한자도 다르고, 더 중요한 것은 우리네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전해주신 삼태성과 혼동하면 의미가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시작한 소행성들은 이후 가속적으로 발견돼 1890년이 되자 개수가 3백개를 넘었다.한
편
티티우스-보데 법칙은 점차 힘을 잃어갔다.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의 크기가 지름이 9백km 정도로 다른 행성에 비해 크기도 작지만 이렇게 소행성 숫자가 늘어가자 행성 거리를 나타내는 법칙으로서의 지위를 ... ...
2. 20대 박사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일반계 고등학생보다 대학진학에서 불리하다.이에 비해 제1고등중학교 졸업생은 행복한
편
이다. 북한에서 대학에 진학하려면 먼저 3년 이상의 군복무나 5년 이상의 사회생활을 해야 한다. 그러나 제1고등중학교 졸업생은 이 의무를 거치지 않고도 곧바로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 이들을 가리켜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제 소신입니다.미경_ 이제 이 영화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해야 할 시간인것 같아요. 김
편
집장님부터 말씀해 주세요.훈기_ 이 영화를 복제 자체만으로 끌어갔다면 재미없지 않았을까요. 아놀드가 나와서 영화를 많이 살려줬던 것 같아요. 영화 속에 여러가지 메시지가 담긴 것 같기도 하고…. ... ...
실시간으로 메시지 주고받는 메신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회원으로 가입해야 한다. 하지만 로그인할 때는 다른 메신저 서비스들과는 달리 전자우
편
주소를 이용하는 것이 다르다.MSN 메신저는 비교적 단순하게 디자인돼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메시지 송수신은 물론 인터넷 폰, 문자호출 기능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동전화로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베텔게우스다. 어느 쪽이 더 붉게 보이는지 한번 비교해보는 일도 재미있을 것 같다.한
편
목성의 위쪽에는 하얀 솜뭉치처럼 작은 별들이 ‘?’ 모양으로 모여 보일듯 말듯 깜박이고 있는데, 이것이 플레이아데스성단이다. 예전 시골 할머니들은 오밀조밀한 모습 때문에‘좀생이별’이라고 불렀다. ... ...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사실 테라스에 나무나 풀을 심는 것은 메소포타미아의 강가에 사는 사람들에게 매우 보
편
적인 것이었다. 즉 도시 주위를 흐르는 강물을 이용해 식물을 재배하는 정원은 매우 오래전부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영박물관에 보관된 니니브의 소위 ‘나무로 꽉 채워진 장소 ... ...
초고속망 시대에 걸맞는 컴퓨터 보안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옛 친구들도 만날 수 있게 해주는 공간으로 많은 이들에게 즐거움은 주고 있지만 다른 한
편
으로 개인 정보가 쉽게 드러날 수 있는 위험도 있다.항상 네트워크가 연결돼 있는 온라인 세상을 향해가고 있는 지금,이제 여러분들의 개인정보와 데이터는 여러분 스스로 지킬 준비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 ...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된다”며 보어의 탈실증주의적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대화한
편
물체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는 자연의 비결정론적 본질을 말하는 것이며, 이는 아인슈타인이 죽을 때까지 받아들일 수 없는 주장이었다. ‘하나님은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