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d라이브러리
"
연결
"(으)로 총 4,369건 검색되었습니다.
텔레비전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04
많아야 좋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케리의 영상전달기는 화소마다 각각 전선을
연결
해야 했기 때문에 좋은 화상을 얻으려면 너무 많은 전선이 들어가는 게 최대 결점이었다.케리가 안고 있는 문제는 1884년 독일 전기기술자 파울 고틀리베 닙코프(1860-1940)가 해결해냈다. 그는 셀렌 광전지판 ... ...
인터넷 과학공부방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04
끌어낸 것이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이로부터 책에 나오는 화학 반응식과 화합물들을
연결
시킨다는 것은 무리일 듯. 부담없이 재미있게 읽고 화학에 대해 흥미를 느끼면 충분하다. 일반화학 실험기구 방에 들러 그 쓰임과 생김새를 익히면 과학실에서 어떤 기구를 써야할지 몰라 당황하는 일은 피할 ... ...
Y2K 어떻게 해결하나
과학동아
l
199903
99버그는 큰 문제다.아무리 우리의 Y2K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했다고 해도 이와 네트워크로
연결
된 다른 곳의 프로그램이 말썽을 일으킨다면 그 영향을 받는다. 자동차를 운전할 때 다른 차의 실수로 일어나는 사고를 막기 위해 방어운전을 하듯이, 연계 테스트는 다른 프로그램으로 인한 사고를 ... ...
② 정보통신
과학동아
l
199903
과학기술이 남한보다 10년은 뒤떨어지고, 평양에서 전화선을 통해 일본의 인터넷과
연결
하려 했으나 통신회선 속도가 느려서 할 수 없었다는 등 솔직함도 엿보인다. 인공위성 안테나 사진을 보여주면서 평양에 있는 보통강 국제호텔에서는 CNN, NHK, STAR TV를 볼 수 있다는 기사도 있다.기타 북한 관련 ...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03
있어 빛을 감지한다. 여기에는 신경세포가 분포한다. 신경섬유가 시신경을 이루어 뇌에
연결
되면서 사물을 감지한다.가장 넓은 보호막, 피부피부는 우리의 몸을 둘러싸고 있는 가장 넓은 보호막이다. 피부의 세포들은 서로 튼튼하게 달라붙어 있어서 신체의 여러 조직이나 기관 중에서 가장 ... ...
대륙이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903
거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북아메리카와 아시아를
연결
했다고 믿었던 ‘베링기아’와 같은 육지다리가 대서양에도 있었다고 가정해 이를 설명해왔다. 이러한 설명에 의문을 품은 사람은 독일의 지구물리학자인 알프레트 베게너(1880-1930)였다.베게너는 1904년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03
전지는 양극/전해질/음극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부분에 적합한 재료를
연결
해 놓으면 전지가 된다. 박막 전지는 이 세 층을 각각 아주 얇은 막으로 만든 것이다. 박막전지는 현재 가장 발달돼 있는 반도체 제작 분야에서 사용하는 동일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상 특별한 ... ...
Ⅳ. 미래의 문을 여는 바이오 칩
과학동아
l
199903
침이 고이는 것 등이 그 예다. 이러한 감각은 세포막을 통해 신경계에 전달되고, 뇌에
연결
되면서 과거 뇌에 기억된 정보를 이용해 인식된다.만약 감각을 감지해낼 수 있는 바이오 센서를 만들 수 있다면 이러한 센서들을 조합해 감각기관이 있는 아톰이나 에반게리온과 같은 로봇과 인조 인간이 ... ...
밀레니엄 버그 ABC
과학동아
l
199903
해결한 상태에서 나왔다. 사실 개인용 컴퓨터는 네트워크에
연결
되지 않는 한, 설사
연결
됐다고 해도 날짜가 조금 틀렸다고 해서 컴퓨터가 다운되지는 않는다. 단지 일기를 쓰거나 가계부처럼 날짜를 이용하는 경우 일일이 날짜를 고쳐주어야 한다는 게 조금 불편할 따름이다.개인용 컴퓨터의 Y2K ... ...
인터넷은 핵폭탄이 안겨준 선물?
과학동아
l
199903
가리킨다. 기존의 네트워크형태는 가운데 주컴퓨터 주위로 다른 컴퓨터들이 하나씩
연결
돼 있는 중앙집중식이었다. 이 형태에선 중앙의 명령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각 컴퓨터에 전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분산네트워크에선 중앙과 주변의 경계가 없어져 버렸다.두번째 혁신적인 개념은 '패킷 스위칭'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