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신마비 환자가 일어서는 기적 일어날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또 치료 전에는 움직이지 못하던 쥐들이 거의 정상적으로 걸을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감각
기능
은 회복하지 못했다. 브래드베리 박사는 “콘드로이티나제가 흉터 조직의 일부 분자를 파괴해 신경이 손상된 부위 안으로 다시 자랄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다”며 “수년 내에 임상시험을 할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등의 세라믹스에 비해 고도의 기계적 · 전자기적 · 열적 · 광학적 · 화학적 · 생화학적
기능
을 추구한 새로운 세라믹스이다 핵산의 분해에 관여하는 모든 가수분해효소의 총칭 RNA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리보뉴클레아제(RNase), DNA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디옥시리보뉴클레아제(DNase)라고 ... ...
땅위를 달리는 우주선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맥클라렌 포뮬러1(F1)팀에 특수 운전복을 공급했던 그라도제로에스파체사가 에어컨
기능
이 달린 신형 운전복 제작을 맡았다. 레이서의 유니폼 안에 입는 이 옷은 독특한 직조기술과 우주복의 냉각 메커니즘의 산물이다.회사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옷의 무게를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줄일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내부에 기름을 채워 넣고 다시 밖을 감싸는 압력보상형 구조로 제작한다.움직이는
기능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여기에는 6개의 프로펠러가 사용된다. 전진속도는 1.5노트(1knot=0.514m/s)로 1시간에 약 2천8백m를 이동하는 빠르기다. 이밖에 심해는 빛이 통과하지 않아 어둡기 때문에 수중조명장치를 달아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많기 때문에 공업적으로도 널리 이용된다 여러 엽록소 분자가 모여 광합성을 이루는
기능
상의 단위 클로로필 분자는 하나씩 따로따로 광합성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클로로필 분자가 모여 하나의 단위가 되어 광합성을 한다 고등식물처럼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산동화하는 세균 1957년 4월 1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생장을 억제하거나 죽게 한다. 이와 같은 항생작용은 농작물에 사용되는 생물농약의
기능
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이처럼 생물 성장을 돕고 항균 작용을 하는 미생물집단을 ‘근권미생물’ 이라고 한다. 여러 종류의 근권미생물 중 농약으로 쓰기에 가장 좋은 것은 뿌리에 잘 달라붙는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먹이사슬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 외에도 건물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도심의 공기 정화
기능
을 하는 등 여러면에서 유용한 측면이 많다. 최근 오존 방출이 문제가 됐던 플라터너스 한그루도 하루평균 3kg 내외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2.6kg의 산소를 방출해 시민 3명이 하루종일 숨실 공기를 만든다는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그건 낭패다. 실제로 자신의 미니홈피를 다녀간 사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라는
기능
은 원래 자신의 미니홈피 방문자 중 1천번째와 같은 특별한 방문을 기념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최근 이벤트를 자신의 미니홈피를 다녀간 이를 밝혀내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 물론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불견들이 겪는 고통도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다. 입 주변 피부조직의 손상과, 소화
기능
상실로 시름시름 앓는 개들이 늘어날 것이며, 짖을 때마다 뿜어지는 불의 열기로 인한 화상으로 일그러진 개의 입은 안쓰러워서 바라볼 수가 없을 정도일 게다. 열기로 인해 아밀라아제 같은 소화효소이 변성돼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반응이 자연스럽게 측정돼 이를 건강관리에 이용하게 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각기 다른
기능
을 하는 센서를 옷 하나에 12개까지 내장하는 기술을 개발한 상태다.방문단은 서울과 대구에서 국내 섬유 관련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들을 만나 한국과 영국의 기술을 비교·분석하고 상호교류하기로 했다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