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장치"(으)로 총 4,199건 검색되었습니다.
-
- [WWDC 되짚어보기] 맥OS 하이시에라2017.09.26
- 언급한 바 있는데, 맥OS 하이시에라 역시 맥OS의 다음 10년을 위한 초석을 다졌다. 저장 장치에 대한 제약이 사라졌고, 고해상도 미디어 콘텐츠를 운영체제의 일부로 품었다. 어떻게 보면 애플은 하이시에라로 뿌리를 싹 뜯어 고치는 대 공사를 했다. 그 변화는 맥이 가야 하는 방향이자, 맥 이용자들이 ... ...
-
- 반짝반짝 눈이 부셔~! 나만의 네온사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09.25
- 하는 일이 까다롭기 때문에 대신 네온사인과 비슷한 효과를 내는 ‘EL와이어’라는 장치를 사용했지요. EL와이어는 일종의 ‘형광물질을 바른 전선’이에요. 형광물질에 전기를 가하면 빛이 나는 원리를 이용해 만들어졌지요. 전력이 적게 들 뿐만 아니라, 전선을 따라 360°로 빛이 난다는 장점이 ... ...
-
- 중앙 분리대 위에 올라간 차팝뉴스 l2017.09.23
- 흔들리지 않는다. 사진은 작은 미스터리다. 저 위에 어떻게 올라갔을까? 스프링 도약 장치가 있어서 위로 점프를 했다면 모를까 사고로 콘크리트 분리대 위에 올라가는 것은 확률적으로 낮아 보인다. 게다가 중앙 분리대 위에서 중심도 잡았다. ‘놀라운 운전 솜씨’는 놀림반 진심반 댓글들이 많다. ... ...
-
- 국내 연구진 ‘자율주행 차 두뇌’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9.20
- 6.7mm에 불과하지만 영상을 해석해 차선을 읽거나 행인들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장치 고장도 확인할 수 있어 급발진 등의 사고에도 99% 이상 스스로 대응할 수 있다. 연구진은 지난해에도 자율주행차용 프로세서를 개발한 바 있으며 올해는 성능을 한층 더 높였다. 계산을 담당하는 부품인 ... ...
-
- 바늘 없는 ‘안 아픈 주사’ 상용화 성큼동아사이언스 l2017.09.20
- 교수는 “호르몬, 백신 등 열에 민감한 단백질 성분 약물에도 적합한 무통증 약물 주입 장치”라며 “바늘공포가 있거나 감염을 우려하는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 ‘배움’은 ‘필요’를 느낄 때 시작된다!동아사이언스 l2017.09.15
- 신속하고 정확하게 문을 열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었다. 이에 호박고구마팀은 도어락 장치에 사용자가 정해놓은 시간이 되면(수업시간을 미리 입력), 동작감지센서로 사용자의 방문을 감지해 문을 열어주는 타이머식 도어락을 만들었다. 문이 닫히기 1분 전에 부저를 통해 문닫힘을 경고하고, ... ...
-
- [수고했어! 카시니] 임무 끝내는 토성 탐사선의 20년 여정동아사이언스 l2017.09.15
- 데이터는 '천문학적' 데이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카시니의 데이터는 자기 테이프 저장장치에 저장됩니다. 그중 가장 큰 기여는 지구 외의 행성에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는 증거들을 발견한 것입니다. 지난 4월에도 NASA는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에서 솟아오르는 물기둥(으로 추정되는 ... ...
-
- 9가지 숫자로 본 토성 탐사선 카시니의 일생동아사이언스 l2017.09.15
- 휴대용저장장치(USB메모리) 6개 분량(635GB)이다. 1997년 발사 당시에는 지금 같은 소형 저장장치가 없어 자기 테이프를 이용해 자료를 저장하고 전송했다. 이 자료로 현재까지 발표된 논문만 무려 3948건. 이 중에는 위성 ‘엔켈라두스’에서 물기둥을 발견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찾은 성과도 있다. ... ...
-
- 아이폰X에 담긴 애플의 10년2017.09.13
- 없이 풀렸다. 최호섭 제공 애플은 얼굴 정보를 복제하는 것에 대한 대비로 여러가지 장치를 더했는데, 실제 얼굴을 본뜨고 메이크업까지 해서 똑같이 보이도록 해도 가짜라는 것을 잘 골라낸다. 터치ID가 5만분의 1의 확률로 풀릴 수 있는 것에 비해, 페이스ID는 100만분의 1 수준으로 보안이 ... ...
-
- 국내 연구진, ‘인공태양’ 운영 핵심 기술을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9.12
- 조건 하에서 34초 간 ELM을 제어하는데 성공했다. 전 세계에서 개발하고 운영하는 핵융합 장치 중 최초로 ITER에 적용되는 운전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운전 기술을 확보한 셈이다. 이전까지는 3~4초 수준에서 ELM을 제어할 수 있었다. KSTAR 내부 모습 -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오영국 KSTAR 연구센터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