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계산했다.고대천문학을 집대성 했던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히파르쿠스의
기록
을 토대로 ‘테트라비블로스’라는 점성술 책을 남겼다. 그는 여기에 황소자리에서 시작해 양자리와 물고기자리로 움직이는 춘분점의 위치를 상세히 다뤘다.춘분점은 기원전 4525년경부터 황소자리에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헤테로다인형 가변대역필터를 통해 그 출력을 원반과 직결된 원통에 감긴 방전
기록
지에
기록
한다공기 속을 전해지는 소리의 빠르기는 온도의 영향을 받으며 0℃에서 매초 3315m, t℃의 음속 v는 v=3315+06t(m/s)로 주어진다소리의 크기를 감각적으로 판단할 때의 양 단위는 손 lkHz, 40dB의 소리를 1손이라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타이타닉이 북대서양에서 빙산과 충돌하던 순간을 미국인 여성 생존자가 생생하게
기록
한 내용이다. 지난 5월말 파리의 한 박물관에서 공개된 이 글은 영화 ‘타이타닉’의 감독 제임스 캐머런에 영감을 줘 실감 나는 여자 주인공을 탄생시켰다.최근 지구온난화가 가속되면서 빙산의 수가 늘고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수출을 위주로 한 대외지향적 발전정책으로 다른 제3세계와 달리 높은 성장률을
기록
하고 있다DNA의 유전정보를 받아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DNA가 유전에 관한 '설계도'라 한다면 RNA는 그것의 '전사·번역도'인 셈이다한 개의 칩위에 10만개 이상의 소자가 집적된 회로 최초의 VLSI는 64KDRAM이다 ... ...
가을들판 三色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다섯은 백포도주일 가능성이 높다.라무엘라-라벤토스 교수는 “청포도가 언급된 최초의
기록
은 기원전 1세기 고대 로마의 시인 버질이 이집트 마리우트산 청포도를 예찬한 문헌”이라며 “이번 발견으로 청포도의 재배역사가 그보다 훨씬 오래됐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사과 조상은 체리만한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통해 얻어 자동으로 함께
기록
할 뿐만 아니라 찍은 사람과 찍힌 사람이 누구인지도 함께
기록
하는 장치다.예를 들어 경주로 수학여행을 갔다고 하자. 첨성대와 불국사, 그리고 석굴암을 들러 수많은 사진을 찍었다. 여행에서 돌아온 뒤 친구들과 각자 CAMAR카피어에 저장된 사진을 증강현실 지도 위에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세기 후반에는 군사용 망원경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인식이 있었던 것 같다. 영조 당시의
기록
을 종합해볼 때, 망원경의 숫자는 적으나마 서울 방위의 요처였던 남한산성에 하나, 그리고 북쪽 국경지방의 산성방어 임무를 맡은 부대에 몇 개 정도 있었다고 생각된다. 가늠선,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 ...
지구 온난화는 허리케인 만드는 '촉진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간섭무늬 간격에 비해 충분히 두꺼운 감광층을 가진 감광재료를 써서 입체적으로
기록
한 홀로그램평면적(1층)으로 되어 있는 초LSI소자를 입체적으로 쌓아 올려 집적도(集積度)를 비약적으로 높인 회로소자 다층구조소자(多層構造素子)라고도 한다 전신의 피부나 점막 등이 일반적으로 변화를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쓸 수 있다다이얼온도계로서도 쓰이고, 또 온도의 자동조절장치의 발신부나 자동
기록
온도계로서도 쓰인다점탄성 액체의 법선 변형력 효과의 하나로서 정상 변형유동에서 탄성변형부분이 커지면 유선(流線)방향에 변형력 이외의 장력이 생기고 이것과 수직방향에 압력이 생기는 현상 생물이 체내에 ...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퀘이사)에서 나오는 미약한 전파를 매우 짧은 시간 간격으로
기록
할 수 있는 관측기기를 만들었다. 퀘이사가 우리은하의 성간구름에 의해 반짝거리는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서였다. 벨은 매일 여러 퀘이사를 반복해 관측했다. 퀘이사의 반짝거림은 휴이시 교수의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