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자리 테마여행-쌍둥이자리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등장1994.12.3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Pentax ME super 50㎜(f2) 필름 provia 400 고정 촬영 10분 ②
나무
위의 쌍둥이1994.1.7 강원도 명주군 강릉저수지 Pentax ME super 50㎜(f2) 필름 sensia 100 고정 촬영 10분 ③ 지하세계로 들어가는 쌍둥이1994.1.10 강원도 원주군 운암면 Ni ...
사라진 문화재 컴퓨터 그래픽으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비디오 영상을 입력 받아 각 부재의 질감을 표현하는 작업이었다. 특히 기둥부는 오래된
나무
느낌, 기단부는 오래된 돌의 느낌이 나도록 해야 했기 때문에 입력받은 영상자료에 2차원 페인트 프로그램을 이용해 수정을 가했다.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의 복원은 일반적으로 시람의 ... ...
호모 에렉투스, 최초직립보행인류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영장류 중에서 우리 인간만 이 직립보행을 하고 도구를 사용하며 복잡한 언어를 사용한다. 네다리로 기어다니던 유인원이 직립보행을 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도 ... 두 다리로 서서 걸을 수는 있었으나 초원을 걸어 돌아다닌 것은 아니었고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했으리라고 추측하고 있다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부석과 화산회 퇴적층에서 자주 발견되는 탄화목은 당시 생장하던 버드
나무
가문비
나무
등인데 탄화목의 탄소동위원소연대는 1410년 전, 1230년 전, 1153년 전, 1050년 전으로 보고돼 있다.얼마 전부터 일본과 한국 일부에서 발해멸망이 백두산 분화 탓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백두산 ... ...
재활용 종이, 제조공정서도 환경보호 큰 역할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독성을 지닌 화학물질의 배출이 극적으로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그는
나무
로 새 종이를 만드는 제지공장 29곳과 재활용 제지공장 30곳에서 나오는 화학물질의 양을 비교해보았다. 이와 함께 그는 종이의 원료가 되는 펄프만 생산하는 공장 20곳에서 분출되는 화학물질에 대해서도 같이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열을 지으면 비가 온다개미들이 비가 올 것을 미리 알고 안전 지대인 잔디풀 밑이나
나무
그늘로 피난한다고 생각된다.○ 새벽 안개가 짙으면 맑다바람없이 고요하고 맑은 날 밤과 이른 아침에 걸쳐 안개가 발생하기 쉽다. 안개는 주야의 기온차로 야간에 지면이 매우 냉각되기 때문에 지면 근처의 ... ...
곤충 연구하며 자연의 신비 캔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또 자작(自作)한 매미채로 매미를 잡아 가슴 등마루에 튀어난 융기에 바늘로 실을 꿰서
나무
에 매 놓아 울게 했다. 늦여름에는 두꺼운 판지와 성냥개비로 벌레상자를 만들어 콩밭에서 잡아온 여치나 베짱이를 그 속에 가두고 오이껍질 등으로 수분을 갈아주며 추녀끝에 매달아 놓았다. 그러면 ... ...
1. '도전-실패' 되풀이 개발역사 50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했는데, 그 결과는 물론 미미했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다룰 수 있는 문제라는 것이 고작
나무
토막을 순서대로 쌓는 정도였다.이러한 초기 시도의 반작용으로 나타난 것이 지식처리기법(knowledgebased approch)이다. 지능이란 지식과 이를 사용하는 추론기능이라고 보고 문제 풀이에 필요한 지식을 적절히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수만마리씩 큰 집단을 이루고 살면서 질서 있는 사회를 형성한다. 흰개미는 흙이나
나무
를 침으로 뭉쳐서 집을 짓는다. 아프리카의 초원에 사는 버섯흰개미는 높이가 4m나 되는 탑모양의 둥지를 만들 정도이다. 이 집에는 온도를 조절하는 정교한 냉난방장치가 있으며 애벌레에게 먹일 버섯을 기르는 ... ...
선생님의 칭찬 한마디가 식물학 반세기 나의 길 결정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전주사범 1학년 시절인 4월 어느 날 식물학 담당 무라카미(村上一男) 선생님이 왕벚
나무
꽃봉오리가 피기까지의 관찰도를 그려내라는 숙제를 내셨다. 전체 1백명 가운데 제일 잘 그려냈다는 평을 받은 나의 관찰도는 이학관(理學館)생물실 앞 게시판에 걸렸다.이로 인해 내 이름은 많은 학생들에게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