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라인
철사
덕
케이블
전선
line
d라이브러리
"
선
"(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축구공의 무늬는 모두 몇 개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증명들이 많이 있지만, 다음 그림에서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내부의 삼각형과 평행한
선
들을 그어 (그림2)처럼 육각형을 만든다. 이 육각형 속에는 작은 삼각형이 13개 있게 된다. 원래의 삼각형을 잘 보면 (그림3)에서 보듯이 4개짜리 평행사변형의 반에 해당되는 부분이 3개 있어 이들의 합 6개와 ... ...
4 석유대신 바이오매스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높은 연소에너지를 가져 미래의 에너지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미국 일본 독일 등
선
진국에서는 대규모 수소 생산공정 개발을 위해 늪지 호수 바다 등에서 광합성 미생물을 대량배양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으나 실용화에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빨라야 2010년 경에나 실용화될 수 있을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여덟팔나비', 태풍을 타고 남쪽 열대지방에서 날아와 우리나라에 자리잡은 '별
선
두리왕 나비', 날개에 커다란 눈을 10개나 가지고 있는 '눈많은 그늘나비'등이 그것이다.우리나라 나비가운데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2종류가 있다. 줄점팔랑나비와 배추흰나비의 유충인 배추애벌레가 그것. ... ...
과학동아가
선
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터져 제2의 걸프전쟁 직전까지 비화되기도 했다. 이는 미국의 대통령
선
거전과 맞물려 중동지역에 일촉즉발의 전운이 감돌게 했다.북한에 대한 핵사찰도 이뤄졌는데,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곧 종합적인 사찰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북한의 핵사찰과 아울러 남북공동사찰에 대한 논란도 계속해서 ... ...
(3) 팩스/모뎀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때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도 컴퓨터 프린터로 인쇄하면 깨끗하게 뽑아볼 수 있어 개
선
된다.팩스/모뎀의 경우 데이터의 송신만 되는 것과 송수신 모두를 지원하는 제품 두 종류가 있다. 구입시에는 이러한 점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또한 팩스/모뎀 구입시에는 내장 소프트웨어로 한글이 지원되는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전혀 다른 구조와 컴퓨터 이론을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현재 구조의 연장
선
상에서 기억소자의 한계는 0.1μ영역, 집적도로는 1G를 많이 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기억소자의 발전을 둔화시키는 또다른 요인은 경제적인 문제다. 오늘날 가장 수요가 많은 4MD램 경우 수지를 맞추기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러한 이유에서 백조자리 X-1을 검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 쌍성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X
선
원 중에는 동반성의 질량이 9M⊙인 것도 관측되어 검은 구멍의 존재는 의심의 여지가 없어지게 되었다 ... ...
태극마크를 둘로 나눠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공간을 갖게 되고, 이 공간이 바로 한개의 정방형의 크기와 같게 된다는 것이다.직
선
PR이 수평과 이루는 각도는 arctan (=${tan}^{-1}$)2/5, PS가 수평과 이루는 각도는 arctan 3/8이다. 따라서 그 사잇각은 arctan 2/5—arctan 3/8=arctan 1/46=1.245˚. 이 각도는 육안으로는 판별하기 어려운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수 있다. 이 사슬에서 각 '고리'는 그 다음의 고리나 마찬 가지로 중요하다. 동물들이 곧추
선
다리 자세를 가지게 된 것은 중생대에 일어난 동물 역사의 중요한 한 고리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공룡들은 조류를 탄생시킨 무리라는 점에서 역사상 가장 중요한 동물인 동시에 자연사 측면에서도 종은 ... ...
등검은 메뚜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흑갈색의 색조를 띠고 있다. 앞가슴의 배면에는 짙고 좌우가 가느다란 황색의
선
이 가장자리를 두르고 있다. 성충은 늦여름인 11월까지 볼 수 있다. 월동의 형태는 알. 약간 습기가 있는 잡초의 초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먹이식물은 벼과식물이며 한반도 전지역과 제주도에 분포한다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