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오로라의 원인 ‘자기 재결합’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실제 관측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4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MMS는 피라미드 대형으로
지구
궤도를 돌며 25개의 센서로 우주의 입자들을 관측했다. 그 결과 자기 재결합이 발생하는 영역에서 전자가 유(U)턴하듯이 움직인다는 사실도 추가적으로 밝혀냈다.NASA는 “MMS의 대형을 조절해 입자들의 움직임을 ... ...
[과학뉴스]
지구
온난화로 고통 받는 철새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Red Knot)의 ‘이주 시 몸집’이 줄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이들이 태어나는 북극의 온도가 급격히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몸집이 작아진 붉은가슴도요는 먹잇감을 구하는 능력이 부족해 서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과학자들은 또 다른 북극 철새들에도 비슷한 변화가 일어나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여러 은하의 이동속도를 구하면 ‘거리 vs 은하이동속도’ 그래프가 나온다. 여기서
지구
로부터 멀리 떨어진 은하일수록 더 빨리 멀어진다는 결과가 나오면 우주가속팽창을 뒷받침하는 확실한 증거가 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지금까지의 우주론을 뒤흔드는 일대 혁명이 일어날 것이다.3.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정보를 가지게 됩니다. 미래의 우주범선 개발에 분명 중요한 정보가 될 겁니다.”
지구
에서 2광년(18조9천200억 km)이나 떨어진 행성‘JW103683’에 가기 위한 우주범선 파피용은 소설 속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주범선은 1976년 칼 세이건이 처음 제시했다. 그는 미국의 인기 프로그램 ‘더 투나잇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동안 황금대나무여우원숭이와 대나무가 공진화를 해왔을 거라고 추측할 뿐이다.현재
지구
상의 모든 살아있는 영장류들은 살벌한 생존게임의 최종 승자다. 이들은 지금도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자들을 상대로 치열하게 방어전을 펼치고 있는 위대한 존재다. 먹이를 둘러싼 이들의 고도의 차별화 ... ...
[과학뉴스] 우주여행 전성시대? ‘솔라 세일’에 맞서는 전자기장 돛단배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가속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솔라 세일은 5AU(1AU=1억4960만km,
지구
중심에서 태양까지 거리)를 간 뒤에는 태양에서 날아오는 양성자의 에너지가 분산되면서 가속이 멈출 것으로 추정된다. 비그만 박사는 “태양에서 양성자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E-Sail의 와이어를 뻗어 단면적을 ... ...
[News & Issue]
지구
의 노래를 들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과학 연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물 속에서 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지구
의 다양한 현상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최지웅 한양대 해양융합과학과 교수는 “예를 들어 바다에서 비가 내리면 물속에 미세한 공기방울이 생겨 진동하면서 소리를 내는데, 이를 분석하면 강수량을 추정할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악어는 또 한 번의 대멸종사건과 맞닥뜨린다. 갑자기 들이닥친 재앙으로 인해
지구
생명체의 75%가 절멸했다. 이때 악어의 절반이 사라졌는데, 살아남은 나머지 절반이 오늘날의 악어 류인 ‘악어목(Crocodylia)’이다.살아남은 악어목은 열대와 아열대 지역의 강과 호수, 늪지대에서 번성했다. 하지만 ... ...
[Tech & Fun] 이제는 우주산업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변환하도록 하는 등 상변환 물질에 대한 아이디어를 꾸준히 발전시켜왔다. 이런 물질은
지구
에서 자동차를 만들거나 기능성 의복을 만드는 소재로도 쓰일 수 있다.우주 비행체에는 무인 이동 유도시스템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달 표면에서 안전한 착륙 장소를 찾거나 국제우주정거장(ISS)에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영상 40℃까지 오르내리는 온도 변화를 하루에도 200번씩 견뎌야 했어요. 이후 생물들을
지구
에 가져와 분석한 결과, 지의류가 가장 잘 버틴 것으로 나타났답니다.이처럼 강인한 지의류에게도 약점이 있어요. 생장이 너무 느리다는 점이지요. 지의류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1년에 겨우 1mm씩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