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6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아동·성인 환자, '위중 병세' 항체가 서로 다르다
연합뉴스
l
2021.02.23
항체는 감염을 통제하는 작용을 하는데 MIS-C 환자의 경우 IgG가 과도히 늘어나면서 대식
세포
를 자극해 다기관 염증을 유발했다. 이런 사례의 IgG 수위는, 코로나19에 감염되거나 노출된 뒤 MIS-C로 이어진 어린이 환자에게서만 관찰될 정도로 매우 높았다. 코로나19가 중증으로 진행된 성인 환자는 ... ...
점점 독해지는 영국 변이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개발하고 있다. 현재까지 나온 백신은 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에 돌기처럼 나
세포
에 침투할 때 쓰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반응한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현재 공급되는 코로나19 백신의 주 표적이지만 남아공 변이처럼 변이가 자주 일어나 백신이 무력화될 수 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 ... ...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배승철·황일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분야 전문가다. 물과 광합성 산물이 이동하는 관다발 발달제어 원리와 식물 줄기
세포
의 활성 조절 원리 등을 세계 처음으로 밝혔다. 관다발 식물의 체관 발달에 관여하는 단백질 ‘줄기’를 발견해 토마토, 감자, 콩에 적용하고 지능형 농장에 최적화된 바이오매스 생산용 작물로 개발해 작물 생산성 ... ...
[코로나 과학전쟁]식물에서 얻는 단백질 백신 개발 국내서 도전...코로나 '게임체인저'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데 수개월 이상 소요되는 게 단점이다. 포스텍과 바이오앱, 국립보건연구원은 동물
세포
가 아닌 식물에서 바이러스 항원 단백질을 재조합하는 백신 개발에 나섰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스파이크단백질 유전자를 식물에 주입하면 식물이 항원 단백질을 만든다. 이를 ... ...
면역 거부반응 없는 환자 맞춤형 인공근육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1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근육 탈
세포
매트릭스’라는 기술을 도입했다. 그 결과 근육
세포
직접 교차 분화 효율이 향상돼 기능성 인공 근육 조직 제작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개발한 인공 근육 조직을 쥐 모델에서 근육 손상 부위에 이식해 근육 재생 경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혈관과 신경 조직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토콘드리아는 어떻게
세포
의 에너지 공장이 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2.21
전달되지만 어떤 메커니즘으로 이같은 활동이 일어나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 진핵
세포
의 발전소로 불리는 미토콘드리아 내부에서는 전자(일렉트론)를 운반하는 체인을 구성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내부 막을 자유자재로 통과하는 특수한 단백질이 합성되고 이 단백질 합성은 전용 ... ...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 교정한 생쥐, 세계 최초로 태어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당시 리우 교수팀은 이를
세포
수준에서 성공시켰다. 이성현 선임연구원은 “리우 교수팀의 논문 공개 이후 DdCBE를 동물에 적용해야겠다고 생각해 재빨리 연구에 착수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어미 생쥐의 교정된 미토콘드리아 DNA ... ...
코오롱생명과학 임원들 '인보사 성분조작' 혐의 무죄(종합)
연합뉴스
l
2021.02.19
허가 당시 제출한 자료에 적힌 연골
세포
가 아닌 종양을 유발할 수 있는 신장
세포
로 드러나 2019년 허가가 최종 취소됐다. 고소인 측 대리인은 이날 판결 선고 직후 취재진을 만나 "위계 행위를 인정하면서도 식약처가 충분히 조사를 했어야 했다는 이유로 유죄를 인정하지 않은 판결"이라며 "어이가 ... ...
“코로나 D614G 변이 감염력 최대 7.7배” 변이 바이러스 감염력 공통적으로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노스캐롤리나대 연구팀은 지난해 10월 D614G 변이 바이러스가 햄스터의 코와 기도 상피
세포
에 주입해 배양한 결과 D614G 변이 바이러스의 수가 기존 바이러스 수의 10배였다는 연구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실었다 ... ...
아동이 성인보다 코로나19에 강한 이유는 '타고난 면역체계'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NK
세포
) 등 외부 항원의 침입 초기에 반응하는 면역
세포
가 감소했다. 이는 면역
세포
가 빠르게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감염된 부위로 이동해 바이러스가 증식하기 전 빠르게 제거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닐랜드 연구원은 “분석 결과 아동의 타고난 면역체계가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예방하는 데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