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3,6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02
아래아한글 말고는 없기 때문이다.여기에 3.0b는 ‘자체 드로 기능’ 이라는 날개를
달
았다. 물론 OLE지원으로 외부 그래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그림을 불러들여 어느 위치에든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선이나 원 직사각형 등의 그림을 문서 내에서 손쉽게 그려 시각적 아름다움을 더할 ...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02
어떤 사람이 시간여행을 하는 기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하자. 그러면 그는 과거로
달
려갈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미래로부터 온 방문자를 만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역사를 아무리 살펴봐도 먼 미래로부터 온 방문자를 만났다는 기록을 본 적이 없다. 그러므로 먼 미래에 가서도 ... ...
3. 마음으로 찍는 사진 염사
과학동아
l
199601
아주 깊은 지하로 흐르는 수맥을 탐지하는 능력을 가졌다. 지하의 물길이 마치 녹색의
달
빛처럼 가물거리며 흘러간다는 것이다. 야르스벳드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처럼 그렇게 볼 수 없다는 사실에 오히려 놀랐다고 한다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01
베트남군이, 밤에는 크메르루지의 게릴라가 번갈아 차지하는 20년간의 지루한 전화에 시
달
리면서 거듭 훼손당하는 운명에 빠지고 말았다. 지난 82년 이루어진 한 조사는 이 지역의 중요 유물 3백점 이상이 사라졌으며 전체 유적의 70%가 복원 불능의 상태로 파괴됐다고 보고하고 있다. 전쟁이 끝난 후 ... ...
3. 열강들의 무혈전쟁터
과학동아
l
199601
돕다가 본인이 직접 탐험에 나섰다. 그는 1986년 혼자 스키를 타고 63일만에 북극점에 도
달
한 경험도 갖고 있었다. 그가 남극에서 도전의 목표로 삼은 곳은 로스섬에 있는 에레부스(Erebus, 3천7백94m)산. 그는 결국 1994년에 활화산인 에레부스산을 정복하고야 말았다. 이것은 1908년 영국의 새클톤이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01
나왔을 때의 감회는 킹조지섬으로 들어가기 위해서 처음 이곳에 도착했을 때와는 크게
달
랐다. 1년 전 거리는 한적하고 어설프고 쓸쓸해 보였다. 인적이 드문 들판은 버려진 듯 보였고 곧 내려앉을 듯한 낡은 자동차들은 가까스로 움직여 나가는 석양의 군상들과 같았다. 그런데 1년 후 다시 보니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01
하는 행위가 공적인 것이 되고 사적인 영역의 행동이 사적 행위가 되는 일상의 관례와
달
리. PC통신이라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이런 공식이 들어맞지 않는다. 같은 사이버스페이스 속에서도 전자우편을 통해 개인 편지를 보내는 지극히 사적인 행위를 하다가도 몇 초만에 게시판이나 토론장에 ... ...
1. 통신방송위성 무궁화
과학동아
l
199512
무궁화위성은 정지궤도의 한 지점에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다. 위치한 정지궤도는
달
과 태양의 인력 방향과 지구 중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그 위치가 변한다. 그래서 위성이 정지궤도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14일마다 동서 방향으로, 28일마다 남북 방향으로 궤도를 조정해야 한다. 또 위성과 통신하기 ... ...
황소자리의 일곱 자매
과학동아
l
199512
거리는 약 6.2AU, 밝기는 -1.8등급.22-24일 해가 진 뒤 서쪽 지평선 위를 보면 초승
달
과 금성이 밝게 빛난다. 그 오른쪽에는 수성과 화성이 지평선 낮게 깔려 있다. 금성은 차차 고도가 높아져 1996년 봄 최대이각에 이른다.25일 혼다-므르코스-파쥬사코바(Honda-Mrkos-Pajdusakova)혜성 근일점 통과. 혜성과 ... ...
법학-죽는 사람에게도 권리 있다
과학동아
l
199512
것을 인식해야 한다. 장기이식 특별법 제정의 필연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의술의 발
달
로 살려낼 수 있는 생명은 더 많이 살려 내야 한다. 그러나 죽어가는 뇌사자의 생명도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한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