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d라이브러리
"
세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수 있어요. 다 커서 징그럽다고 생각하지 말고, 습관처럼 부모님과 스킨십을 나눠 보
세
요. 어느새 가족 모두의 몸과 마음이 건강해진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아빠의 스킨십이 자녀를 바꾼다!우리나라에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가부장적인 가정이 많이 있어요. 보통 엄마는 너그럽고 편한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수상 기준이기도 하다."퍼즐을 푸는 동안은 마냥 즐거워요."현재 연
세
대학교에서 수학과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 안진후 학생은 2012년 국제퍼즐디자인대회(IPDC)에 처음 참가해 최고상인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다. 이 대회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기계적 퍼즐의 대가로 불리는 노부유키 요시가하라를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첨단 로봇기술을 규제하려는 수단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로봇윤리 개념을 최초로
세
운 이탈리아 국립로봇연구원 장마르코 베루지오 교수는 이런 시각이 오해라고 말한다. 그는 “로봇윤리는 로봇기술을 반대하는 논리가 아니다”라며 “로봇기술의 긍정적 확산을 위해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해야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중화항체(항원이 가진 생물학적 활성을 차단하거나 중화시켜 병원균의 공격에서
세
포를 직접 지켜준다. 백혈구가 체내에서 바이러스와 전면전을 벌이지 않아도 된다.)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박쥐가 있는 곳에 바이러스가 늘 함께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차
세
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더 높이고 빔의 질을 더 높여야 하는 숙제들이 남아 있으나 테이블탑 크기의 소형 차
세
대가속기가 기초과학이나 응용과학, 산업에까지 활용될 날이 머지않아 보인다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생명을 유지한다.연구진은 새삼을 애기장대와 토마토를 숙주로 삼아 자라게 한 뒤 이들
세
식물의 전령RNA를 모아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애기장대에 기생하는 새삼의 전령RNA 중 1.1%는 애기장대에서, 토마토에 기생하는 새삼의 0.17%는 토마토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반대로 숙주인 ...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타악기인 ‘타블라’를 수준급으로 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릴 적부터 타블라의
세
계적 권위자에게 배웠으며 한때 타블라 연주자를 꿈꾸기도 했다. 그러나 음악가가 되면 수학을 공부할 시간이 없을 것 같아 포기했다고 한다. 바르가바 교수는 “음악가가 음악에서 아름다움을 찾는 것처럼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없어 개화여부를 공식적으로 말하지 않아. 대신 철쭉이 많은 소백산과 지리산, 한라산
세
곳 군락지의 개화 상태를 관측해서 알려 주고 있지.어때? 기준이 있으니까 나 초정밀처럼 정확하게 구분하기가 쉽지? 동생이나 형과 뭔가 일치하지 않아 문제가 생긴다면 다투지 말고 기준을 정해 봐. 그럼 ... ...
[만화뉴스] 승부차기에서는 앞 선수와 같은 방향으로 슛을 날려라!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공이 연속해서 같은 쪽으로 날아오면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졌다. 예를 들어, 공이
세
번 모두 왼쪽으로 날아왔을 때 네 번째 킥에서 골키퍼가 오른쪽으로 몸을 던질 확률은 70% 이상이었다. 따라서, 골인 가능성은 키커가 앞 선수와 같은 방향으로 슛을 날릴 때 더 높다고 할 수 있다.이는 ... ...
[뉴스 포커스]
세
계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한국에 모인 이유는?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배울 수 있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컸다. 행사장에서 만난 폴란드 수학 교사 테레사
세
테라 씨는 “매년 학회에 참가할 때마다 수업에 활용할 만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는다”며, “올해는 테셀레이션(쪽매맞춤)을 종이접기로 표현한 한국 작품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