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스페셜
"
새로운
"(으)로 총 3,29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
IBS
l
2016.02.01
암세포 주변 혈관이 줄어들어 암세포가 먹고 살 양분이 없어지는 셈이다. 이 연구성과는
새로운
암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를 알면 열을 알려주는 똑똑한 센서, 바이오 마커 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에서 찾은 ATAD5는 암을 진단하는 바이오 마커로 사용될 수 ... ...
원자력 규제도 고객 중심이 가능할까?
2016.01.28
의견을 상세하게 듣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회의에서 의견을 제시한다. 또한, NSSC에서
새로운
정책을 수립하면 이에 대한 기술적 측면도 지원하고 있다. 지난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으로 새롭게 지정된 통제 품목과 관련된 프로세스의 기술 부분 검토도 이곳에서 맡았다. 해당 프로세스가 정말 실행 ... ...
아파야 엄마일까
2016.01.12
삶을 살 권리가 있는 한 개인으로서 존중하지 않는다. 마치 보통 인간 외의 엄마라는
새로운
카테고리가 있는 것마냥 특별 취급한다. ‘너는 엄마니까..’ 라며. 최근 성격 및 사회심리학지(JPSP)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실제로 ‘아빠’에 비해 엄마를 더 깊고 더 영속적이며 더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암에서 발생의 90% 이상이 외부요인 때문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어서 연구자들은
새로운
해석에 부합하는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먼저 암 발생의 역학으로, 잘 알려진 얘기다. 즉 서유럽의 유방암 발생률은 동아시아나 중앙아프리카의 거의 5배이고(현재 우리나라는 예외가 됐을 것이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 두 사람은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 두 사람이 1969년과 1971년 발표한 논문 두 편은 이 분야의 고전으로 남아있다. 1980년대 개발된 DNA재조합기술과 1990년대 등장한 고성능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해 데이비슨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
2016.01.05
결과임을 역설적으로 깨닫게 하는 이 책에서 색스는 신경질환을 ‘장애에 직면한 몸이
새로운
평형을 찾으려는 시도’로서 해석하고 있다. 2005년 어느 날 시야에 이상을 느낀 색스는 병원을 찾았고 안구흑색종이라는 희귀한 암 진단을 받았다. 레이저와 방사선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왼쪽 눈의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핀테크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서 첨단 IT기술과 금융 서비스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로 주목 받고 있다. 개인별 스마트폰 보급률은 급상승하는 한편 글로벌 금융 위기로 인해 기존 금융업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바람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핀테크 수요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암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준 ‘크리스토퍼 마셜’
2016.01.04
사망한 순서에 따라 한 사람씩 소개합니다. ★크리스토퍼 마셜(1949. 1.19 ~ 2015. 8. 8)
새로운
암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준 세포생물학자 크리스토퍼 마셜 - 런던 암연구소 제공 앞서 소개한 앨런 홀이 미국에서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3개월 뒤 그의 단짝이었던 크리스토퍼 마셜(Christopher Marshall)이 ... ...
응답하라, 옛날이여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서사의 한계라고 볼 수 있다. 드라마의
새로운
서사를 만드는 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새로운
영화나 드라마가 만들어져도 예전의 작품들의 서사구조를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신작이 예전 작품만큼 못할 바에야 예전 작품을 다시 재방영하는 것이다. 드라마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시기성이 있는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1949년 스물한 살의 내쉬는 폰 노이만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게임이론 연구에 착수했고 이듬해 ‘미국립과학원회보’에 ‘n명 게임에서 평형점’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실었다. 이 논문으로 내쉬는 1994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도대체 스물두 살 청년의 두 쪽짜리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