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아
유익
아전
서리
이두
이토
이를지부
d라이브러리
"
이
"(으)로 총 29,006건 검색되었습니다.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시민으로 살아가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친구들, 안녕? 난 디지털 세계의 바른 생활을 연구하는 잼랩의 슈슈야. 날 따라다니는
이
말랑말랑한 친구는 누구냐고? 키키와 연구하다 우 ... 어과수 홈페
이
지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공유해 주세요! 어과동 책에 내 글
이
소개되고, 선물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
[과학 뉴스] 빙하기 매머드, 평생 지구 두 바퀴 돌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➊ 매튜 울러 교수와 매머드 상아의 크기 비교. ➋ 매머드 상아를 세로로 쪼갠 모습. 전체 길
이
는 약 1.7m다. ➌ 매머드 복원도. 1만 7100년 전, 북아메리카 대륙의 북 ... 상아에서는 질소 동위원소가 늘어났는데, 연구팀은 포유류가 영양 부족을 겪을 때 나타나는 반응
이
라고 밝혔답니다 ... ...
[4컷 만화] 지진으로 화성 내부 구조를 알아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독일 쾰른대학교, 스위스 취리히연방공학대학교 공동연구팀
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인사
이
트’가 보낸 화성 지진파 기록을 분석해 화성의 내부 구조를 최 ... 더 많은 지진 자료를 수집하면 화성 내부의 구조에 대해 더 자세히 분석할 수 있을 것
이
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기획] 세계자연유산 된 갯벌! 직접 다녀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등재를 보며 어떠셨나요? 최 그동안 갯벌센터에서 갯벌의 가치에 대해 알렸던 일
이
의미 있었다는 생각에 뿌듯했어요.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계기로 모두가 갯벌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느끼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 ...
[
이
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
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가을맞
이
태양계 나들
이이
번 추석 밤하늘엔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한 볼거리가 가득할 예정
이
에요. 태양계의 행성들을 모두 만날 수 있거든요. 추석 당일인 9월 21일 저녁 ... 예약문의 02-3148-0722(평일 오전 10시~오후 5시)※ 자세한 사항은 과학동아천문대 홈페
이
지(star.dongas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지구를 지키는 똑똑한 방법! 꿀벌한테 배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약해져 더 잘 떨어져 나간답니다.
이
번 실험을 직접 해본 뒤 실험 사진을 어과수 홈페
이
지 에 올려 주세요. 응모해 준 친구들 중 멋진 사진을 뽑아 선물을 드립니다 ... ...
[특집] 특명 기후재난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특집] 특명 기후재난에서 살아남기Part1. [특집] 지구가 부글부글!Part2. [특집] 폭염의
이
유는 열돔 현상?!Part3. [특집] 물 폭탄의 원인은?!Part4. [특집] 기후 재난을 피하려면 ... ...
[특집] 지구가 부글부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며칠째 날씨가
이
상해요. 푹푹 찌는듯 덥다가 하늘에 구멍
이
난 듯 비도 쏟아져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약과예요. 전 세계에서 역대급 재난
이
일어나 ... 재난
이
차별적으로 피해를 입힌다는 점을 보여 준다”며 “도시 설계에서부터 불균형을 줄
이
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 ...
[과학 뉴스] 외계 기술 문명 찾는다! 갈릴레오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7월 26일 ‘갈릴레오 프로젝트’가 홈페
이
지에 미확인 비행물체(UFO) 등 지적 외계 생명체가 남겼을 기술적 증거를 찾겠다고 발표했어요. 전 세계 십여 대의 망원경 시스템을
이
용해 ... 아니라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오무아무아와 비슷한 성간 물체를 깊
이
있게 연구할 예정
이
랍니다 ... ...
[4컷 만화] 자고 일어났더니 손가락에 전기가 모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밀리줄)의 전기가 만들어졌어요.
이
는 전자시계를 약 24시간 작동시킬 수 있는 양
이
지요.
이
뿐만 아니라 1시간 동안 아무렇게나 키보드를 치거나 마우스를 클릭하는 상황에서도 약 30mJ의 전기를 만들었답니다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