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0만 번, 저온과 고온에서 10만 번을 접었다 펴도 디스플레이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교수는 “폴더블폰을 만들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은 삼성디스플레이에서 모두 개발한 게 아니라 11개 대학의 연구진과 협업한 결과”라며 대학과 기업의 협업을 강조했다. 일부는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있는 이 카드의 오른쪽 상단에는 작은 센서가 부착돼 있고, 지문으로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돼야만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카드의 소유주와 다르면 결제를 할 수 없다. 발 빠른 금융권은 이미 단일 생체인증의 도입을 마무리 짓고, 다중생체인식 시스템으로 전환을 꾀하고 있다.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DNA는 손상을 입었지만 9개월간의 표류가 생식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일란성 쌍둥이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일란성 쌍둥이가 1년간 한 명은 우주에서, 다른 한 명은 지구에서 살았다. ‘우주에서의 1년(A Year in Space)’이라고 이름 붙은 이 실험은 우주에서 생기는 신체 ...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강조했다. 3단계 영재성 다면평가에서는 수학·과학자로서의 자질과 품성을 확인하고 창의력과 영재성 및 잠재 능력이 가장 우수한 학생을 선발한다. 평가요소는 수업 적응능력, 문제 제기 능력, 논리적 사고력, 수학·과학자적 품성, 배려와 협동 같은 대인 관계 능력, 독창성, 의사소통능력을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고교생활을 보내왔고, 자신의 진로에 대해 얼마나 고민하고 또 어떻게 노력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록되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부는 선생님의 평가이지만 학생이 고교 생활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원하는 내용이 적힌 자신만의 학생부를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나만의 ... ...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앞서 설명한 방법대로 선분과 수직이등분선을 그리면, 정말 놀라운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기하게도 두 껍질에는 이미 진한 갈색으로 점이 찍혀 있습니다. 그리고 진한 녹색 선이 껍질을 나누고 있지요. 그 선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일치하는 것을 발견했을 때는 정말 ... ...
- [과학뉴스] DNA 대신 치아로 성별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최근 영국 과학자들이 DNA를 분석하지 않고도 치아 법랑질을 이용해 성별을 알아내는 방법을 찾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017년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니콜라스 스튜어트 영국 브라이튼대 약학및생명분자과학과 교수팀은 ‘아멜로게닌’이라는 단백질이 성염색체의 영향으로 남녀에 따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황금색 털 어떻게 생길까?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중학교 생물시간에 배운 ‘멘델의 유전법칙’을 기억할 겁니다. 멘델은 녹색과 황색 완두콩을 서로 교배시키면 1대 ... 51(6): 653-657). 요즘은 유전자 검사가 워낙 발전해서 털 색깔 정도는 태어나기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능한 활동 모듈(BEAM)’을 ISS에 도킹해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주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NASA는 포스트 ISS 시대의 정거장으로 민간 우주정거장과 달 궤도 우주정거장을 고려하고 있다”며 “2024년 이후 ISS의 운영을 민간에 넘기고, NASA는 203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질문이 집중됐어요. 학생부와 자기소개서에 적힌 내용이 제가 실제로 한 일이 맞는지 확인한다는 느낌이었습니다.” 학부생 연구 지원하는 KAIST 선택오 씨는 “고등학교 때 다양한 사람을 만나는 일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사람마다 생각의 한계가 존재하는 만큼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과 ... ...
이전281282283284285286287288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