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높은사람"(으)로 총 3,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장이 잘려 나가도 생존하는 제브라피쉬의 비결동아사이언스 l2017.06.11
- 사이언스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 아주 작은 심장을 촬영한 장면이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했다. 사진의 주인공은 크기가 5㎝에 불과한 열대어 제브라피쉬다. 이 사진은 제브라피쉬가 심실의 아랫 부분에 크게 손상을 입은 뒤 7일 후 촬영된 모습이다. 사람과 달리 제브라피 ... ...
- [WWDC 2017 ④] 새 아이패드와 iOS2017.06.10
- 아이패드가 세상에 나온 지도 벌써 올해로 8년째다. 지난 2010년 스티브 잡스가 소파에 앉아 소개했던 아이패드는 단순한 콘텐츠 소비 기기에서 지금 애플이 바라보는 또 하나의 컴퓨터로 진화하고 있다. 아이패드 프로는 점점 더 생산성을 이야기하고 있고, 이번 WWDC17을 통해 하드웨어적으로, 또 소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실제 나의 존재와 별개로 나의 이미지, 추상적인 자아관을 지키려는 욕망은 대단하다. 생각해 보면 나의 자존심에 상처가 났다는 게 곧 나의 일상에 큰 타격을 주거나 나라는 사람의 존재 자체를 변화시키는 일인 경우는 드물다. 그럼에도 우리는 때론 나의 ‘이미 ... ...
- ‘티끌 물’ 모아 ‘큰 가뭄’ 잡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06.09
- “냄새가 고약하지요? 그래도 간단한 정수 과정을 거쳐 냄새와 부유물을 제거하면 변기 물 정도로는 충분히 쓸 수 있습니다. 변기 물은 어차피 흘려보내야 하는 물이니까요.” 가뭄으로 전국이 바싹 말라가고 있던 2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공과대를 찾았다. 심각한 가뭄 속에서 물을 효과적으로 ... ...
- [카드뉴스] 비, 커피, 만년필의 물리학동아사이언스 l2017.06.08
- 많은 사람들은 물체의 운동을 다루는 물리학을 추상적이고 어려운 학문으로 여깁니다. 그렇다면 일상 속의 흥미로운 물리학은 없을까요? 비의 물리학 | 빨리 달린다고 비 덜 맞는 건 아니다 우산이 없을 때 비를 만나면 조금이라도 비를 덜 맞기 위해 전속력으로 달리곤 합니다. 그런데 비의 방향 ... ...
- [아름다운 풍경] 오스트리아의 ‘구름바다’팝뉴스 l2017.06.07
- 팝뉴스 제공 구름바다를 뜻하는 운해는 많이들 쓰는 표현이다. 높은 산에 오르고 운이 좋으면 발밑에 구름이 바다 혹은 호수처럼 깔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럴 때는 산이 아니라 바닷가에 온 듯한 착각을 하게 된다. 언스플래시 등 사진 공유 사이트에서 인기가 높은 위 사진은 오스트리아에서 ... ...
- [과학책을 만나다 (2)] 여성의 진화 - 과거의 몸으로 현대를 사는 여성들 동아사이언스 l2017.06.07
- ※편집자주 요즘 과학책이 대세죠? 인문학 열풍만큼은 아니겠지만, 과학 서적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습니다. 게다가 외국 서적 번역이 대부분이었는데, 이제 국내 과학작가 작품에 좋은 책이 많더군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저자를 만나서 궁금한 것을 묻고, 어떻게 읽으면 되는지 힌트를 얻어 ... ...
- 나무로 만든 고풍스러운 자전거팝뉴스 l2017.06.07
- 팝뉴스 제공 나무로 만든 자전거를 타고 싶을까? 실제로 나무자전거를 제작*판매하는 회사가 있는 걸 보면 타고 싶은 사람도 있는 모양이다. 물론 자전거 전체를 나무로 만들 수 없다. 오직 프레임만 나무로 만들고, 바퀴는 역시 고무와 철강으로 되어 있으며, 여러 부분에 쇠로 된 나사가 박혀 있 ... ...
- 눈이 시리게 아름다운 칠레 페오에 호수 팝뉴스 l2017.06.05
- 팝뉴스 제공 위의 사진은 그림처럼 보인다. 가느다란 붓으로 오랫동안 그려낸 정밀화 같다. 작은 점 하나 하나에 예술가의 혼이 깃들어 있는 것 같은 느낌이다. 하지만 그림이 아니라 사진이다. 사진작가는 다니엘 코댄. 풍경 사진 분야에서 명성이 높은 그는 러시아 출신이며 현재는 이탈리아 토 ... ...
- 소방관, 내년부터 방화복 대신 아이언맨 수트 입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06.05
- 동아일보 제공 서울의 한 고층 빌딩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35층에 미처 탈출하지 못한 사람이 남아 있다는 제보가 들어왔다. 고층 사다리도 닿지 않는 높이. 전력이 끊어져 엘리베이터마저 정지됐다. 소방관이 화염과 연기를 뚫고 두 발로 걸어 올라가는 것이 유일한 구조 방법이다. 방화복과 ... ...
이전281282283284285286287288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