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름기 대멸종 시베리아 화산 때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원인일 가능성에 한발짝 더 다가서게 됐다.페름기 말에는 해양
생물
중 90% 이상과 육지
생물
70% 이상이 멸종됐다. 원인은 불명확하지만 ‘시베리아 트랩’이라는 러시아 대규모 화산 폭발이 핵심 원인으로 추정됐다. 용암 분출과 화산 가스가 대기 환경에 악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가정이다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아버지도 결국 유 교수의 고집에 꺾였지만 조건을 내걸었다. 당시만 해도 취업이 안 되는
생물
학과는 안 되니(유 교수가 차선책으로 내세운 화학과도 안 되고) 대신 공대를 가라는 것. 결국 유 교수는 서울대 화학공학과에 들어갔다.“대학에서 공부를 해보니 전 역시 공대 체질이 아니더라고요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9.11테러 직후 미국에서는 편지로 배달된 탄저균 테러로 5명이 숨지고 17명이 감염됐다.‘
생물
안보를 위한 국가자문위원회(NSABB)’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논문을 수정해 달라는 요청을 보낸 까닭도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서다. 위원회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정말 공익 목적으로 ... ...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신만이 안다고 알려져 있던 질병 발병의 비밀을 밝히기로 결심한다.유전학은 단순히
생물
학의 한 분야가 아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를 다루는 복잡한 데이터과학이다. 그래서 많은 유전학자들은 동시에 유능한 데이터 분석가이기도 하다. 자료를 효율적으로 비교해 새로운 특징을 ... ...
과학으로 뭉친 열정 아이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댄스’가 있다. 허리가 이성을 매료시키는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에 대해 영국의
생물
학자 존 매닝은 진화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했다.사람들은 심리적으로 허리가 잘록하면 건강한 자손을 낳을 수 있다고 받아들인다는 사실이다. 마치 암컷 개구리가 큰 목소리를 내는 수컷일수록 건강한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가서 특별한 연구를 하는 교수가 될 수도 있고,
생물
학을 해서 아이들에게 즐거운
생물
학을 가르치고 싶다면 사범대나 교대에 가면 돼. 공부하다 보니 동물에 대해 관심이 생긴다면 수의학과에 갈 수 있지. ‘요즘 보니 신종 바이러스 때문에 동물들이 죽는데 내가 해결하고 싶다’ 그러면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행동은 좀 따라할 수 있죠. 예를 들자면 문 여는 방법이요. 오스트리아 비엔나대의 인지
생물
학자인 프레데릭 레인지 박사는 개 10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어요. 이 개들은 모두 훈련을 받아서 머리나 앞발로 문을 열 수 있어요. 이 개들에게 주인이 문을 여는 모습을 보여줬어요. 주인이 머리로 ... ...
이산화탄소에 취한 물고기는 용감해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생태계 붕괴 가능성마저 우려하고 나섰다.필립 문데이 호주 제임스쿡대 해양열대
생물
학과 교수팀은 애니메이션 ‘니모’로 유명한 흰동가리를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바닷물에서 키운 뒤 행태를 관찰해 그 결과를 ‘네이처 기후변화’ 1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현재의 이산화탄소 농도(약 450ppm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달라 정확하게 비교하기는 어려웠지만, 조사 결과 생태계 변화를 일부 발견할 수 있었다.
생물
개체수와 다양성이 다른 지역에 비해 약간 높아졌다. 실지렁이 수가 많아졌고 관찰 되는 종 수도 늘었다. 겨울철에 물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생명의 보금자리가 될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하지만 농사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눈에 들어 온 것이 ‘이산화염소(ClO2) 수치가 0’ 이라는 계기판이었다.베르헤르 씨는 “
생물
학적 방법으로 수질을 감시한다”면서 “자주 쓰는 동물이 물벼룩과 송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눈으로 수를 셀 수 있고 수질이 조금만 바뀌어도 헤엄치는 수위나 패턴이 달라진다. 그래서 하드호프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