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쿨
학원
배움터
핵교
학당
학겨
핵겨
d라이브러리
"
학교
"(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인일 것 같은 연예인 1위 개그맨 김병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했어요. 키가 작다고 저를 얕보는 친구들한테 본때를 보여 주고 싶었거든요. 그래서
학교
3층 건물에서 빗물관을 타고 내려오기도 하고, 집 근처 산 절벽을 기어 올라가기도 했답니다. 텀블링도 혼자 익혔어요. 이런 재주 때문에 별명도 ‘손오공’이었답니다.230개가 넘는 ‘달인’ 아이디어2. 생각의 ... ...
진실 여섯! 복권으로 실천한 이웃사랑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학교
가 많습니다. 하버드대, 프린스턴대, 예일대, 컬럼비아대는 복권기금으로 세운
학교
의 대표적인 예랍니다. 또 중국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만리장성과 호주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를 짓는 데도 복권기금이 쓰였습니다. 복권의 수익금이 꼭 당첨금에만 쓰인다고 생각했던 오해가 좀 풀리셨나요? ... ...
1/2은 되고 2/4는 안 되나?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기약분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죠.여기서 잠깐 유리수와 분수의 차이를 살펴봅시다. 초등
학교
에서는 분수라는 표현을 쓰지만 정확한 표현은 유리수입니다. 대체로 분모, 분자 꼴로 나타낼 수 있기만 하면 모두 분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π/2도 분수입니다. 그런데 분자인 π는 정수가 ... ...
뿔의 부피는 진짜 기둥 부피의 1/3인가요?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밑면이 합동이고 높이가 같은 뿔과 기둥에서, 뿔의 부피는 기둥 부피의 1/3 입니다. 이 사실은 각뿔이든 원뿔이든 모든 뿔과 기둥에서 성립합니다 ... 부피 관계는 무한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적분에 의해서만 증명할 수 있답니다. 적분을 모르는 중
학교
에서는 이런 이유로 실험으로 배웁니다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통해 냉각돼 다시 아래쪽 물이 잠긴 플라스크로 떨어진다. 전기스파크 장치만 빼면 고등
학교
화학 실험 수준의 장비인 셈이다.그러나 실험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밀러는 이 속에서 뭔가 대단한 일이 일어나고 있음을 직감했다. 아래쪽 플라스크의 물 색깔이 하루만에 핑크색으로 바뀌더니 ... ...
“잠재력 가득한 미래 발전소”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학년 밖에 없어요. 독특한 커리큘럼의 결과는 아직 모르죠. 그렇지만 자율성이 존중되는
학교
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을 갖추면 어디에서도 제 역할을 해낼 가능성이 충분해요 ... ...
LED로 빛 만들고 합치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관련된 실험으로는 빛의 합성 실험이 대표적이다. 파란색 LED가 마지막으로 발명되면서
학교
현장에서도 실험에 사용됐는데, 제일 먼저 활용된 실험 중 하나가 이것이다. 물론 이때는 서로 다른 RGB LED를 각각 사용해 같은 곳을 비추는 방식을 이용했다. 최근에는 하나의 칩에서 세 가지 빛이 모두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입은 연구원들이 줄을 서서 실험하는 모습을 기대했지만, 예상과 달리 기자가 공부했던
학교
생물실험실과 다를 것이 없었다. 기자의 생각을 읽었는지 박 센터장은 “아직 국내에는 제대로 된 유전체연구센터가 없다”고 설명했다.“그럼 복도에 걸려있는 저 많은 생물의 게놈은 다 어떻게 해독하고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시 40분 성동구 흥인동 청계천변 주민 150가구 250여 명이 청계천이 넘쳐 침수되어 광희국민
학교
로 긴급 대피했다.”이 기사에 나온 홍수의 양상은 ‘100년 빈도의 큰 비’가 내렸다며 서울 곳곳이 잠긴 뒤인 올해 7월 28일자 동아일보의 실린 기사와는 조금 다르다. 이 날 동아일보는 다음과 같이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백만 배 밝기 때문에 아주 작은 물체의 구조나 성질을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
에서 볼 수 있는 현미경을 생각해 보자. 식물의 기공 세포를 확대해 보려면 배율이 수백 배는 돼야 한다. 그런데 배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어두워져서 반사경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어느 정도 배율 이상이 되면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