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세상엔 어떤 입이
과학동아
l
201311
물고기에 붙어 피를 빨아먹거나 시체를 파먹는다.➎ 달팽이달팽이의 입을 유심히 바라본
사람
이 얼마나 있을까. 달팽이의 입에는 무려 수만 개의 미세한 이빨이 있다. 이 이빨은 먹이를 잘게 잘라 입 안으로 옮긴다.➏ 외뿔고래수컷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기다란 뿔이다. 그래서 이름도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11
동물의 사례를 보면
사람
보다 훨씬 더 창의적인 방법으로 입을 활용하는 듯하다. 우리
사람
의 입에도 아직 잠재된 능력이 더 있지 않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딴짓하는 입INTRO. 세상엔 어떤 입이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 ...
머리카락,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과학동아
l
201311
자꾸 빠져서 고민인
사람
에게 희소식이 전해졌다. 머리카락을 만드는 모낭세포를 다시 만드는 방법을 찾았다는 연구가 발표됐다.미국 콜롬비아대 의학연구센터의 안젤라 크리스티아노 교수는 모유두세포의 본래 능력을 회복시켜 모낭 세포를 만들 수 있다는 연구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ʼ 1 ... ...
아이손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1311
기원전 1000년부터 중국에서 관측기록이 있다. 기원전 550년에는 그리스 피타고라스학파
사람
들이 혜성을 아침과 초저녁에 지평선 근처에 가끔씩 나타나는 떠돌이 행성이라고 생각했다. 기원전 330년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책 ‘기상학’에서 혜성을 천구 시스템에서 달이 있는 층보다 낮은 ... ...
5기통 엔진의 마지막 춤
과학동아
l
201311
5기통 엔진이 올 여름을 강타했다.두 명, 세 명씩 번갈아 뛰어오르는 걸그룹, 크레용팝의 안무가 ‘대박’을 터뜨렸기 때문.덩달아 5기통 엔진의 ... 엔진 춤’만이 마지막 추억으로 남을지도 모를 일이다. 특유의 진동과 소리를 사랑했던
사람
들의 아쉬운 탄식 소리가 벌써부터 들려오는 것 ... ...
병원에서 귀신도 쫓나요?
과학동아
l
201311
것으로 보아 원인이 하나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런 증상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사람
에게 현대 과학이 완벽한 치료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건 사실입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종교나 무속에 의존하는 것도 일견 이해는 갑니다.상상 속 세계는 영화나 소설에서만!과학은 물질 세계를 ... ...
가격 담합 잡는 벤포드 법칙
과학동아
l
201311
담긴 책을 보면서 앞쪽 페이지가 뒤쪽 페이지보다 더 닳아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사람
들이 로그표에서 1로 시작하는 값들을 더 자주 찾아봤음을 의미했다. 물리학자 프랭크 벤포드(1883~1948)는 뉴컴의 이런 발견을 1938년에 공식화했다. 벤포드는 강 335개의 넓이, 물리학 상수 104가지, 분자 중량 180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
과학동아
l
201311
수술 후 감염의 위험도 크게 줄었다. 마지막으로 인체의 면역기능이 밝혀지면서 다른
사람
의 조직이나 장기를 이식받을 수 있게 됐다. 이 결과 외과의사의 손은 환자의 뱃속은 물론 이전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심장과 폐 등의 흉강, 그리고 대뇌가 들어 있는 두개강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됐다.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11
경험은 도움이 될 수 있고 그 경험이 나쁜 경험이 되느냐, 좋은 경험이 되느냐는 경험한
사람
이 마음먹기에 달린 것입니다. 모든 경험에는 부정적인 부분이 있지만 긍정적인 부분도 있습니다. 실패한 경험도 당연히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실패에 크게 의미를 두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과학동아
l
201311
정 교수는 자신이 불임연구할 때는 물론 줄기세포를 연구하면서 목표로 삼았던 것은
사람
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자는 것이었다. 기초연구자에게는 어울리지 않겠지만, 응용과학자에게는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나중에 어떻게 쓰일 수 있을 것인지는 항상 염두에 두고 있어야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