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드림
희망
포부
소원
소망
이상
d라이브러리
"
꿈
"(으)로 총 2,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세타령하는 농민을 보고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하루라도 빨리 해결하기 위하여 입대하였다. 자유당 말기였던 1961년 2월에 드디어 유학의
꿈
을 실현하기 위해서 미국 유타주립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에 들어갔었다.1년후에는 축산학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코넬대학교로 옮겨서 영양학을 공부하게 되었던 것이다. 모처럼 좋은 대학에 온 김에 ... ...
한세대 뒤엔 실현될지도 달에서의 생활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2단계 노력이 경주되는 시기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어쨌든 '달에 인간이 산다'는
꿈
을 현실화 시키기 위한 계획은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여기에 소개한 스케치그림은 NASA의 과학자들이 생각하고 있는것을 일러스트레이터들이 형상화시켜 놓은 것이다. 이 그림들은 단순히 일반인들의 흥미를 ... ...
빛의 오늘과 내일 제6세대 광컴퓨터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더 강력한 컴퓨터를 만드는 것에 대해 말한다. 또 다른 사람들은 광학적 중앙처리장치의
꿈
을 갖고 있는데, 오늘날의 크레이슈퍼컴퓨터가 1초내에 1백억개에서 1천억개까지의 연산을 하는 것에 비해, 그것은 1초에 ${10}^{15}$번보다 더 많은 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다른 한편으로 아무것도 아닌 ... ...
스푸트니크 충격은 나를 우주세계로…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지금은
꿈
같은 얘기로 들릴지 모르지만 항공우주공학의 발달 속도로 볼 때 21세기에는
꿈
들이 현실로 나타날 것이 확신된다. 왜냐하면 이 길이 인간의 발전을 위한 유일한 길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 ...
"조개가 이처럼 아름다운줄 몰랐다"는 감탄자아내 목포의 조개전시관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보인다는 것. 기증자인 김성훈교수는 "다가오는 해양시대를 맞아 학생들에게 바다에의
꿈
을 심어 주는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하고 있다. 관람은 연중무휴로 오전9시부터 오후6시까지다 ... ...
비스무스 이용, 고온초전도체 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연이은 개가는 상온(常溫)에서 초전도현상을 일으키는 새물질을 발견하려는 과학계의
꿈
을 한발 앞당긴 셈이다. 이 신비의 물질은 아울러 물리적으로 안정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종래의 이트륨 고온초전도체에 비해 물을 비롯한 다른 화합물에 강하다는 것도 밝혀졌다. 또한 종래의 초전도체가 잘 ... ...
PART2 미국의 탐사 개발계획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왕복에 1년걸리며 화성에선 2주일동안 체재하면서 그간 못다 했던 행성에의여행이란
꿈
을 사상 처음으로 실현시킨다. 화성에 만일 생물이 있다면, 영국의 작가 ‘죠지·웰즈’가 소설에서 화성인이 지구를 침략해 왔었다고한 가상을 뒤엎고, 진짜로 지구인이 먼저 UFO를 타고 화성을 침공(?)하는 것을 ... ...
PART3 소련의 포보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이곳에서 훈련받고 있는 우주 비행사들(수미상)은 모두 화성의 유인 우주비행에 대한
꿈
을 안고 있다.훈련센터속의 각종장치는 NASA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다른것이 없으나 원심력을 이용하여 높은 중력을 만들어내는 거대한 장치 등이 있다. 1분간에 38.6회전, 승무원 1명에 30G(중력의 가속도), ... ...
"설계도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로킷"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로킷에 대하여 한참 연구하던 어느날 밤 나는
꿈
속에서 이순신장군을 만났다."장군님 혹 신기전이라는 것에 대해 아십니까?""알지…그런데 왜?""그것 발사하는 것 좀 볼 수 없을까요? 꼭좀 보고 싶은데요. 그것이 로킷인데 말씀입니다. 그것을 발사하는 것을 보면 더욱더 확실히 알 수가 있읍니다.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위대한 과학자 스티픈 호킹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야망을 갖고 있다. 이를테면 창조자인 신의 계획을 방정식으로 수렴해 보겠다는 엄청난
꿈
을 꾸고 있는 것이다.그는 “우주는 창조되는 것이 아니며 파괴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존재할 뿐이다”고 말하면서 “그렇다면 창조자가 설 땅은 어디일까?”라고 덧붙인다. 그러나 호킹의 생각이 옳다고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