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같은 방향에서 보면 비슷한 특징이 많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사물을 x
나
y 같은 변수로 설정하고, 변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특징이 비슷하다고 해석하는 ‘메트릭 학습 기법’으로 사물을 분석합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물을 보고도 기존에 입력받은 사진과 ... ...
[지식] #數수스타그램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이렇게 수학을 알면 온라인 속 멋진 사진의 비밀을 알 수 있어요. 사진을 예쁘게 보정하거
나
부자연스럽게 합성된 사진을 찾아내는 원리가 무엇인지 알겠지요? SNS를 시작하고 싶은 친구들이 있다면, 사진을 보정하는 다른 방법에는 어떠한 수학 원리가 있는지 한번 알아보세요. 끝으로 SNS에 올린 ... ...
[소프트웨어] 팜!
나
만의 해피농장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먹구름이 끼거
나
, 비가 내리거
나
, 거친 바람이 불지 않아요. 농작물과 동물이 병들거
나
죽을 염려도 없지요. 주인을 정말 행복하게 만드는 농장이랍니다~ ... ...
[재미] 양손잡이 위상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문제 : 위상수학자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은?“재밌는 문제네요.”“그
나
저
나
만델브로 아저씨가 아래층에 쓰러져 있었는데 걱정돼요.”“마왕이 게임을 시작했군. 걱정 마. 네가 더 이상 도움을 받지 못하게 문제를 풀면 시간제한을 두고 위층으로 올라가는 문을 잠가버리는 거야. ... ...
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난 ‘095021’이라고 해. 내 이름이 왜 숫자로 돼 있냐고? 왜냐하면
나
는 대형병원의 실험동물이거든. 귀를 보면 이름이 잉크로 적혀 있단다. 그런데 실험동물이 뭐냐고? 지금부터 실험동물들의 이야기를 들려 줄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믿음의 끈을 더 많이 잡아당기는 것으로
나
타났어요.닥터 그랜마 : 난 너를 믿어.
나
랑 지구를 정복하자!침팬지 : 엥겔만 박사는 이번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침팬지도 사람처럼 친한 친구를 더 믿는다’고 결론을 내렸어요. 또한 이 연구는 영장류들의 사회적인 행동을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
나
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독도에 사는 생물들을 비롯한 다양한 바다 생물까지 직접 볼 수 있었어요. 또 한눈에 우리
나
라의 대표 수산물을 파악할 수 있는 수산물 지도도 전시돼 있었지요. 생생한 바다생물을 통해 바다를 깊이 알고 싶은 친구들은 수산과학관으로 놀러 오세요~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기자단 친구들은 세계에서 가장 멀리 날아간 기네스북 종이비행기 실험에 도전해 보기로 했어요. 기네스북에 오른 종이비 ... 어때요? 내가 만든 비행기가 더 멀리 날아갈 것 같다고요? 여러분도 세상에서 가장 멀리
나
는 종이비행기 만들기에 꼭 한번 도전해보길 바랄게요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송준섭(이하 준) 바둑을 이야기하려고 모였는데, 바둑 실력은 어떤가.한보형, 김기응(이하 한, 김) 까막눈이다. (웃음)감동근(이하 감) 바둑을 좋아해서 최근까지도 바둑을 계속 공 ... 있을까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
나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즉 뤼카-레머 판정법을 통해 메르센 소수를 찾았더라도, 그 수의 앞뒤로 2만큼 차이가
나
는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이야기다.뤼카-레머 판정법을 이용해 컴퓨터로 메르센 소수를 찾는 데 처음으로 성공한 사람은 미국의 수학자 라파엘 로빈슨이다. 그는 1950년에 미국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