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집에 또 불이 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토실아~, 토실토실 토실아~, 큰일났어!” ‘토실이는 나 어릴 적 가족들이 쓰던 애칭인데 어떻게 알고…. 설마?’ 꿀록 탐정이 몸을 일으켜 창문 ... 것 잊지 마!”이번에도 완벽하게 사건을 해결한 꿀록 탐정! 다시 여유로움을 만 끽하기 위해 개코 조수와 함께 사무소로 발길을 돌렸답니다 ... ...
- [교육뉴스] 복잡한 수학 공식 이제 쉽게 검색하자!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검색창에 수식을 쓰기 위해 라텍스의 입력 방식을 새로 익혀야 했죠. 이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6월 24일, 미국 로체스터공과대학교 연구팀이 ‘매스덱(MathDeck)’이라는 수식 입력 프로그램을 개발해 발표했습니다.매스덱은 손으로 쓴 글씨나 수식의 사진만 있으면 됩니다. 사진을 인식해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바이러스의 구조가 대칭이어야 빠르게 자기를 복제할 수 있는 겁니다.전염병과 싸우기 위해 연구자들은 이런 바이러스 껍질의 구조를 이해하고 분류하는데요, 많은 바이러스가 대칭구조이기 때문에 대칭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군론을 통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작품에 딱 맞는 알고리듬은 대부분 새로 개발해야 합니다. 필요하면 알고리듬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코딩 언어도 배워야 하죠. 양 작가는 “새로운 기법은 곧 새로운 표현 방식”이라며, “뉴미디어아트의 특성상 매년 새로운 언어나 알고리듬 기법을 익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알고리듬이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비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 교수가 식물인간 환자와 소통하기 위해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린 게 그 시작이었다.그리고 46년이 지난 2019년 7월 16일, 늘 상상만 했던 기술을 개발해 세상을 놀라게 했던 미국 기업가 일론 머스크가 뇌-AI 연결 기술을 선보였다. ... ...
- UAE┃INTERVIEW 옴란 샤라프 EMM 총괄 디렉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과거에 UAE가 문명의 발상지였던 것처럼, UAE는 미래에 새로운 지식의 중심지가 되기 위해 우주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 UAE가 이렇게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는 것은 한국의 청소년도 못 할 일이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국은 UAE 우주 개발의 시작을 함께 했던 나라이며, 지금도 우주 프로젝트를 진행할 ... ...
- USA┃Mars 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최초의 드론 비행 테스트에 나서다 마스 2020은 향후 화성 유인 탐사를 준비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을 실제 화성 표면에서 테스트하는 임무도 수행한다. 마실 물도 없고, 대기는 이산화탄소로 이뤄진 화성은 사람이 살 수 없는 환경이다. 대기 밀도가 낮고 자체 자기장이 없어 우주 방사선에 그대로 ... ...
- CERN의 미래 가속기, FCC 지을까, 말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건설하려는 첫 번째 이유는 2012년 발견된 힉스 입자의 성질을 더욱 정확하게 탐색하기 위해서다. LHC에서 양성자를 충돌시키면 사실상 쿼크와 글루온들이 충돌하는 것이어서 이들이 양자역학적 확률 분포에 따라 에너지를 나눠 갖고, 이에 따라 힉스 입자의 성질을 측정하는 실험의 정확도가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큰 데다가, 케첩의 점도도 높다 보니 주사기 밀대를 눌러줄 강한 힘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리드 스크류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리드 스크류는 긴 나사에 너트가 조립된 장치입니다. 강하게 회전운동 하는 모터로 너트를 돌리면 너트가 긴 나사를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는 수직 운동으로 변환돼서 ... ...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실험 중이다. 띠뇌실막세포 내에서 TSPO 단백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다른 단백질을 찾기 위해서다. 김 교수는 “TSPO 단백질의 기작을 밝힌 것만으로 지질 대사를 온전히 설명할 순 없다”며 “식욕조절에 관여하는 또 다른 인자를 찾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궁극적으로는 비만, 당뇨 등의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