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사라지는데,비눗방울은 오래 남아 있는 걸까? 결론부터 말하면 비누 성분이 물 분자 간의
힘
을 약화시켜 표면장력을 줄이면서 막을 잘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공기방울은 표면장력에 의해 생기지만 금방 터져서 사라진다. 이 방울이 터지지 않으려면 방울을 이루는 면을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있을 때, 부피는 같더라도 무게는 다를 수 있습니다.무게는 지구가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
입니다. 야구공과 부피가 같은 쇠공을 생각해 보세요. 당연히 쇠공이 야구공보다 무겁겠죠? 부피가 같다고 해서 무게도 같은 것은 아니랍니다. 또 부피가 크다고 해서 무거운 것도 아니고요. 무게의 단위는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트러스 구조는 여러 개의 직선 재료를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삼각형 형태로 배열해
힘
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달에 있는 재료로 만드는 달 도시달 표면에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건설에 필요한 재료를 달 자체의 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 일본 시미즈 건설회사는 달에서 캐낸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남기고 싶다. 내 카메라에 적힌 숫자의 의미를 바로 아는 것이 큰
힘
이 된다.사진의 화소는 그물의 구멍 친구가 이번에 1600만 화소 카메라를 샀다고 자랑이다. 3년 전에 최신 기종이라고 산 내 카메라가 800만 화소인 걸 보면 기술이 발전하는 속도가 대단하다. 그런데 대체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가지고 있다. 무게 1.5t 정도의 중형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데 아무 문제가 없는
힘
이다.양성광 교과부 전략기술개발관은 “한국형발사체는 3단 액체로켓을 2014년까지 개발하고 1, 2단에 장착될 75t급 액체로켓개발을 2018년까지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8년에 75t 로켓을 이용해 송수신 기능만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차가 생긴다.다른 방법으로는 인간의 근육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전기인 ‘근전도’나
힘
을 줄 때 근육이 딱딱해지는 ‘근육경도’를 감지하는 방식도 연구하고 있다. 일본의 외골격 로봇인 HAL이 근전도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연구팀은 “사람의 두뇌에서 근육 쪽으로 넘어오는 신경을 분석해서 ... ...
반지의 선택 그린랜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태양에 던져 버리는 것 같은 빈약한 상상력은 아무리 액션이 멋있다고 해도 오히려
힘
이 빠지지 않는가.영화가 원작을 솜씨 좋게 풀어가지는 못했지만 그린랜턴은 원래 매력적인 친구다. 관심이 있다면 국내에 출간된 만화책 ‘그린랜턴: 시크릿 오리진’과 ‘그린랜턴: 리버스’를 찾아보기 ... ...
익스트림 에너지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온도가 수 만℃에 이른다. 이처럼 익스트림 에너지공학에서는 소량의 에너지원으로 큰
힘
을 얻을 수 있는 현상을 연구한다. 그리고 유용한 방향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한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높은 에너지의 레이저를 대상 물체의 표면에 쏘면, 표면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 짧은 순간 빛을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열리는 ‘지구상상전’에서는 지구가 곳곳에 숨겨둔
힘
과 아픔, 현실과 가능성을 다채롭게 그려내고 있다. 전시 속 자연은 순수함을 잃지 않은 상상 속의 자연도 아니고, 피해자도 아니다. 전시에 참여한 10여 명의 작가들은 자연이 거대한 유기적 순환과정이라는 ... ...
모든 것이 가능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 모든 것들이 가능하다(315쪽).”저자가 보기에 과학자들은 불필요한 일에 너무 많은
힘
과 에너지를 낭비한다. 행정 처리할 일은 산더미 같고 연구에 쓰는 시간은 줄어든다. 게다가 지나치게 규모가 크다. 저자 역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연구원 출신이지만, 거대과학 연구자들에게 가차없는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