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41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변이 등장과 한층 심각해진 기후변화 위험…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존재 가능성을 처음 확인했다고 4월 밝혔다. 전자의 ‘무거운 형제’같은 입자로 고
에너지
양성자 입자를 총돌시킬 때 만들어지는 뮤온 입자가 표준모형의 예측보다 더 자성을 띠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만약 이 불일치가 이어지면 50년 전 개발된 표준모형이 관측을 설명하지 못하는 ... ...
'원전은 친환경
에너지
인가' 독일-프랑스 시각차
연합뉴스
l
2021.12.15
원자력 발전을 '지속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로 분류하는 문제에 대한 유럽연합(EU)의 결정이 임박한 상황에서 탈원전을 이끄는 독일과 기후변화 대응 ... EU가 양분된 모양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EU는 오는 22일 원자력 발전의 친환경
에너지
분류 여부를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 ...
[화보] 핑크 형광 뽐내는 뜀토끼…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색소인 아스타잔틴을 추출하는데 활용된다. 이 시스템은 지열을 활용한 전기로 작동하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조명을 사용한다고 한다. NASA 제공 올해는 미국과 중국, 아랍에미리트(UAE)의 화성 임무가 모두 성공한 기념비적인 화성 탐사의 해였다. NASA의 퍼시비어런스 로버 바닥에 초소형 헬리콥터 ... ...
한미 과기공동위 확대강화, 과기협력기금 공감대…양국 기술동맹 '최고수준' 격상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왼쪽)이 에릭 랜더 미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오른쪽)을 만나서 논의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한국과 미국이 장관급 ‘ ... 공동연구(JFCS)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강조하며 과기정통부와
에너지
부 간 원자력 등
에너지
분야 전반 협력 확대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화학연, 구조색 인쇄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각도에 따라 변색하는 장미와 미키마우스 사진. KAIST 제공 ■김신현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14일 이수연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팀과 자연을 모방한 구조색을 ... 새로운 합성기술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에너지
’에 13일 공개됐다 ... ...
2억광년 밖 우주 '암소' 정체는 블랙홀 또는 중성자별 탄생 순간
연합뉴스
l
2021.12.14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밖에 없다는 결론으로 이어졌다. 이와함께 우주 암소가 방출한
에너지
를 토대로 태양 질량의 800배가 넘지 않는 것으로 산출했으며 이를 근거로 중형 블랙홀에서 나온 빛일 가능성도 배제됐다. 파샴 박사는 "초신성 폭발 뒤 압축된 천체가 생기는 것을 관찰했을 가능성이 ... ...
NASA ,2022년 기후변화 감시할 4개 임무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특성이 다르고, 이에 따라 주변 환경조건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철 입자는
에너지
를 흡수해 주변 환경 온도를 높이는 반면, 점토를 함유한 입자는 빛을 산란해 주변 온도를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먼지의 지구 온난화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고, 이외에도 먼지가 사람의 ... ...
감염병 백신 요소기술 개발 등 바이오 R&D에 내년 5532억원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기술 연구 등 차세대 바이오 기술 개발에 646억원을 지원하고 천연물·장내미생물·바이오
에너지
등에 308억원을 지원한다. 국민건강 증진 연구개발에는 신변종 감염병 신속 대응을 위한 차세대 백신 요소기술 개발 등 감염병 전반에 대한 기초·원천연구 역량 확보를 위해 737억원을 지원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합성으로 적응력 높아져 북미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스위치그래스(큰개기장)가 바이오
에너지
작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월 고품질 게놈이 해독되며 사배체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었던 배경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북미에 자생하는 스위치그래스는 크게 세 가지 생태형(ecotype)으로 ...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고성능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2
망간 금속계 촉매에 비해 철 입자를 용출시키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김현민
에너지
화학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일반 페로브스카이트 이중층 산화물 촉매를 특수한 형태로 바꿔 완벽한 상전이를 시키코 철 금속을 많이 용출시키는 데 성공했다"며 "기존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