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조
대비
견줌
비유
비김
비교분석
분석
d라이브러리
"
비교
"(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미 2009년에 지금까지 나온 지구공학 기술의 효과, 비용, 시간, 안전성을 분석하고 서로
비교
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의 책임을 맡은 존 쉐퍼드 교수는 “SF와 과학을 분리하고, 진지한 고려가 필요할 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보고서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모두 지구공학의 가능성과 ... ...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옛 생활방식을 찾기 쉽지 않다. 그러나 위의 지역들은 전통적 생활양식이 현재까지
비교
적 잘 이어져 오고 있다. 그리고 인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현재 이슬람 국가라는 공통점도 있다.인도는 과거와 현재가 혼재된 매우 독특한 곳이다. 불교는 이미 오래전에 쇠퇴해 유물에서만 흔적을 느낄 ... ...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복제한 바 있다. 이리타니 박사팀은 러시아 과학자들이 보관하고 있는 매머드 조직에서
비교
적 보존이 잘 된 세포핵을 골라 추출한 후 아프리카코끼리(Loxodonta africana)의 난자에 심어 아기 매머드의 배아를 얻을 계획이다. 그 후 일본 킨키대 미노루 미야시타 교수팀이 배아를 아프리카 코끼리 자궁에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질량 분석기를 쓴다. 단백질의 화학 구조와 아미노산 서열을 바탕으로 계산한 분자량과
비교
해 종류를 알아내는 원리다. 연세프로테옴연구원에는 질량 분석기가 7대 있다. 국내 최대다.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간암 환자의 혈액 속에서 ‘휴먼카복시에스터라제1’이라는 효소 단백질을 찾아냈다 ... ...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도서기호의 문자는 한글사전에서처럼 ㄱㄴㄷㄹㅁㅂ… 또는 ㅏㅐㅑㅒㅓㅔㅕㅗ… 순으로
비교
하면 된다.청구기호에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 외에 몇 가지가 더 붙은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분류기호 앞에 한글이나 영어 알파벳이 붙어 있는 청구기호가 있다. 이것을 ‘별치기호’라고 하는데, 책의 ... ...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불리는 알고리즘으로 만들어졌다. 즉 어떤 질문이 주어졌을 때 저장된 정보와
비교
해 답을 찾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뤄져 있다. 질문이 들어오면 서로 다른 100여 개의 알고리즘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답을 찾는 것이다. 이때 수십 개의 알고리즘에서 같은 답안을 만들면 그것을 답으로 선택한다. 즉 ... ...
수학 성취도, 수도권 저조하고 충청권 약진한 이유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이상이 사는 수도권의 성적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았다. 2008년과 2010년의 학업성취도를
비교
하면 초등학생에서 충북이 보통 이상 학생 비율은 7.3%포인트 늘고, 기초 미달 학생 비율은 1.3% 포인트 줄어 가장 실력이 향상된 지역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에서도 충북은 보통 이상 학생 비율 15.5% 포인트 ... ...
뚱뚱하면 뇌 줄어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나타났다.콘비트 교수팀은 44명의 비만 환자와 19명의 정상인의 뇌 자기공명영상을
비교
했다. 두 그룹의 나이나 생활환경은 비슷했다. 비만 환자는 식습관과 충동조절을 담당하는 부위인 ‘안와전두피질’이 마른 사람보다 더 작았다. 식습관을 담당하는 또 다른 부위인 편도체와 비만인의 뇌에는 ... ...
‘베프’와 나는 유전자까지 닮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지도를 분석했다. 유전자의 개인차를 알아내는 단서인 ‘단일염기 다형성(SNP)’을
비교
한 결과 친구사이에는 유전자가 비슷한 경우가 많았으며, 유전자가 다를 때도 서로 상호보완적인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술을 좋아하는 유전자로 알려진 도파민 D2 수용체 ’DRD2’를 가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눈의 원리를 이용한 로봇 눈을 개발한 것은 이 교수팀이 세계 최초다. 기존의 로봇 눈과
비교
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 먼저 렌즈 하나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여러 개의 렌즈를 복잡하게 늘어놓을 필요가 없다. 또한 소프트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형틀만 바꾸면 중형 및 대형렌즈로 쉽게 만들 수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