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지 프라임? 렙토쿼크? 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3월 23일 온라인으로 열린 한 물리학회(Ren contres de Moriond)에서도 새로운 기본 입자 발견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 가능성은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지대 지하에 건설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거대강입자충돌기(LHC)의 4개 검출기 중 LHCb를 이용해 B중간자(B meson)의 붕괴를 관측하던 중 발견됐다. B중간자 ...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고열량·저영양 식품 기준]간식용 · 1회 섭취참고량당 단백질이 2g 미만이면서 3가지 기준(열량 250kcal, 당류 17g, 포화지방 4g)을 하나 이상 초과하는 식품, 또는 1회 섭취참고량당 열량 500kcal, 당류 34g, 포화지방 8g 중 한 가지를 초과하는 식품 식사대용 ·1회 섭취참고량당 단백질이 9g 미만이면서 ... ...
- 확률형 아이템, 게임계 황금알 낳는 거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인기 게임인 ‘메이플스토리’와 ‘리니지M’ 등이 연달아 ‘확률형 아이템’에서 비롯된 문제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게임의 아이템이 왜 사회 문제로까지 비화됐는지, 그 속엔 어떤 배경이 있는지 게임 전문가를 통해 진단해 봤다 부분 유료(Free to Play) 게임. 글자 그대로 게임은 무료로 즐길 수 ... ...
- [수학뉴스] 삼성호암상 과학상에 필즈상 유력 후보 허준이 교수 선정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연구원은 45년 묵은 이 난제를 해결해 ‘미국수학회저널’에 공개했습니다.허 교수는 독일의 수학자 카림 아디프라지토와 미국 수학자 에릭 카츠와 함께 2015년 벡터 공간에 있는 유한 집합의 특성다항식까지 포함하는 일반적인 상황으로 리드 추측의 범위를 확장하는 문제인 로타 추측도 ... ...
- [매스미디어] 샤이니의 숨은 노래로 본 슈퍼문수학동아 l2021년 05호
- 2013년 8월 8일 아이돌그룹 샤이니가 정규 3집 합본 앨범 ‘The Misconceptions of Us’를 발표했다. ‘우리의 오해’라는 뜻의 이 앨범에 대해 우리는 어떤 오해를 하고 있었을까? 정규 3집 합본 앨범의 타이틀곡 ‘너와 나의 거리(Selene 6.23)’의 숨은 의미를 파헤쳐보자! ※ 편집자 주인간의 감성을 드높이 ... ...
- [매스크래프트] #17. 스타워즈의 날 기념, 데스 스타에 숨어 있는 구의 부피수학동아 l2021년 05호
- 5월 5일은 어린이날, 5월 8일은 어버이날, 5월 15일은 스승의 날입니다. 그럼 5월 4일은 무슨 날일까요? 바로 인기 SF 영화 스타워즈를 기념하는 ‘스타워즈의 날’이에요. 영화 스타워즈의 명대사인 “포스가 함께하길(May the Force be with you)”의 영어 발음이 5월 4일(May fourth)과 비슷해 2011년부터 이날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그동안 제가 수학 로그에서 군론을 이야기할 때마다 외국 수학자만 소개했는데요. 우리나라에도 군론이 발전하는 데 기여한 천재 수학자가 있다는 사실 들어봤나요? 1922년 12월 18일 대한제국이 일제로부터 지배받던 시절에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난 이임학 교수는 1939 ...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지식을 짚어봅시다. 가시광선의 파장은 약 5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입니다. 독일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아베가 만든 공식에 따르면 광학현미경이 구분해 관측할 수 있는 물체의 최소 크기는 파장의 절반입니다. 약 250nm보다 작은 크기의 대상을 가시광선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사람과의 삶을 택한 맹금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봄의 생명력은 때로는 눈부시고, 때로는 처절하다. 야생은 겨우내 움츠려 있던 생명력으로 가득 차지만, 그 안에서도 생명력을 위협받는 존재는 있게 마련이다. 생태계 상위 포식자인 중형 맹금류 황조롱이도 그중 하나다. 최근 서식지가 줄어들며 아파트 단지에서 둥지를 트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3월 26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컴퓨팅 효율 러닝 연구실. 바닥에 놓여있던 손바닥만 한 로봇이 연구원의 손을 쫓아 스스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자율주행 로봇이었다. 작은 크기의 로봇에서 복잡한 자율주행을 구현한 비결을 묻자 김예성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뇌인지과학과 수학을 인공 ... ...
이전2842852862872882892902912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