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을 멈출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이들이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말해주기 때문이다.2005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심리
학과
야링 양 박사팀은 병적으로 거짓말을 많이 하는 사람과 반사회적 성격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을 모집해 이들의 뇌를 MRI로 촬영했다.그 결과 병적인 거짓말이나 반사회적 행동을 한 사람들은 전(前)전두엽 ... ...
PART2 금융상품 탄생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그들이 진짜로 원하는 게 뭔지’ 겸허히 듣기 위해 세일즈에 몸을 던졌다.서울대 수
학과
를 졸업하고 KAIST 금융전문대학원에서 금융공학을 공부한 김 이사의 이력은 세일즈와 잘 어울리지 않는 듯 보이지만 수학 덕분에 금융시장의 유행을 선도할 수 있었다. 확률분석으로 금융상품의 상품성을 ... ...
미래 공학도, 날개 펼칠 둥지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가슴을 졸였지만 다행히 참가할 기회를 얻었다.전국 각지에서 모인 참가자는 지원한
학과
에 따라 10개조로 나눠졌다. 김 군이 배정 받은 실험실은 재생에너지변환 연구실. 연료전지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스템을 연구하는 곳이다. 김 군은 캠프 둘째 날 오전 선배들의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 ...
미래 과학자 하나로 묶는 여름 축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인기를 모은 특별강연은 단연 ‘비누거품의 마술’과 ‘뮤직 스퀘어’. 영국 켄트대 물리
학과
시릴 아이젠버그 교수는 강의 내내 비누거품을 직접 만들면서 항상 최소표면적을 유지하는 비누거품의 특성을 설명했다. 강연을들은 이향진 양은 “마치 마술공연을 보는 듯 했다”며 “비누거품의 ... ...
뜨거운 도시에 부는 푸른 바람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주변 기온을 떨어뜨린다”고 말했다. 여기에 바람도 가세한다. 중앙대 식물응용과
학과
안영희 교수는 “식물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의 대류도 활발해져 저절로 바람이 불게 된다”며 숲이나 나무 주위가 늘 선선한 까닭을 설명했다.최근 짧은 시간에 수십~수백mm의 비가 쏟아지는 집중호우가 ... ...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라고 한다. 미리(pre) 경험시켜(conditioning) 적응력을 키운다는 뜻으로 미국 듀크대 병리
학과
찰스 머리 교수가 처음 아이디어를 제시했다.머리 교수팀은 개를 대상으로 심장의 관상동맥을 5분 동안 막아 혈류를 흘리지 않다가 5분 뒤 다시 흘리는 작업을 4일간 반복했다. 그러자 이후 40분간 혈관이 ... ...
터치스크린 열풍 속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산업디자인
학과
에 다니는 A씨. 그는 4B연필 대신 터치펜으로 작업한다. 간단한 로고 작업에서부터 복잡한 자동차설계 디자인까지 모두 가능케 한 터치스크린 기술 덕분이다.전자칠판과 태블릿PC최근 터치스크린 열풍이 거세다. ‘뇌 연령’을 측정하는 게임 소프트웨어로 게임기 시장에서 일약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농구코트에서 함께 공을 던지며 한판 승부를 벌이는 교수님은 친구 같아요.” 물리
학과
이성익 교수를 두고 학생들이 하는 말이다. 젊은 학생들에게 체력과 실력에서 전혀 뒤지지 않는다. 이 교수가 이틀에 한 번꼴로 체육관 농구장을 찾아 학생들과 농구 시합을 해 온지 벌써 20년이 넘었다.땀으로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지난해 22위로 껑충 뛰어올랐습니다. 전주기 프로그램을 통해 이런 흥미가 이공계 진
학과
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봅니다.Q 최근 주요 대학에서 강연을 하면서 학생들을 만나셨다고 들었습니다. 현장을 자주 찾는 특별한 이유라도 있으신지요.A 지난 4월 19일부터 6월 1일까지 전국 12개 대학에서 ... ...
'뭔 말인지 알지'가 쓸데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해했다고 말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미국 콜로라도대 심리
학과
월터 킨취 교수는 ‘이해의 구성-통합 모형’ 논문에서 이해는 책 속의 단어나 문장, 개념 같은 요소가 하나씩 순서대로 처리되는 과정이 아니라 동시에 활성화돼 한꺼번에 병렬적으로 처리되는 과정이다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