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뉴스
"
공동
"(으)로 총 10,79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UST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강화하고 상호 이해와 교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사업단 연구 내용, 향후
공동
연구 방향, 의과학자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했으며 한국-스웨덴 교류 협력 과제 구성을 논의했다 ... ...
옷 안에 착용하는 보행 보조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좌우 걸음 비대칭 각도를 5도 미만으로 교정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동
연구진인 김정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공기압과 지면반력을 활용하는 지면반력센서 원천기술을 개발해 로봇에 적용했다. 지면반력이란 지면에 힘을 가했을 때 생기는 반작용력을 말한다. 이동연 서울대병원 ... ...
빅뱅 직후 형성된 거대은하 6개 발견..."기존 이론 뒤집는 우주파괴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거대 은하를 발견한 연구 결과를 2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
공동
저자인 에리카 넬슨 미국 볼더 콜로라도대 천체물리학과 교수는 "많은 과학자들은 138억년 전 빅뱅 이후 수십억년이 지나야 거대 은하가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믿었으나 초기 우주는 우리가 상상했던 것보다 ... ...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위해 결합한 상태의 3차원 구조를 밝혔다. 노성훈 서울대 분자이미징연구실 교수와
공동
으로 이뤄낸 성과다. 다이서의 존재는 약 22년 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활성화된 상태의 구조를 밝힌 것은 처음이다. 연구팀은 이 3차원 구조를 통해 다이서가 어떻게 miRNA 전구체를 인지하고 어떤 서열이 ... ...
M두창, 에이즈 환자에게 더 치명적…사망률 최대 5배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38~5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런던퀸매리대와 캐나다 토론토대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은 M두창이 HIV 환자에게 더욱 심각한 증상을 일으켜 환자 중 약 15%가 사망한다는 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 '랜싯' 2월 2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M두창은 원숭이두창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돼 발생하는 ... ...
벌거숭이두더지쥐가 번식력을 유지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이는 난자 생성이 평생에 걸쳐 계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네드플레이스 미국 코넬대 수의대 교수는 “연구 결과는 놀라운 발견”이라며 “포유류 암컷이 출생 전에 한정된 수의 난자를 부여받는다는 70년간 확립된 과학계의 정설로 통하던 이론에 도전하는 ... ...
척수 전기 자극으로 뇌졸중 환자 팔과 손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있게 됐다. 손과 팔을 일상생활이 가능한 수준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 것이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더글러스 웨버 카네기멜론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전류로 감각 신경 세포를 자극해 뇌졸중으로 약해진 근육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며 "무엇보다 자극이 보조적이라 환자가 움직이려고 시도할 ... ...
'페로브스카이트' 세계 최고 기술 보유 한국...상용화 지원은 '초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헨리 스네이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와 리처드 프렌드 미국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공동
창업한 벤처 ‘헬리오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첫 투자 유치에서만 50억원을 모았다. 이들이 설립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벤처 ‘옥스퍼드PV’도 2019년에만 1185억원을 투자받았다. 벤처 창업 당사자인 석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뇌 속 자명종 신경회로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 포스텍은 김원배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상호 부경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
으로 분자나 나노 입자를 선택적으로 제어해 마이크로·나노 크기의 구조물을 제작하는 '마이크로 패터닝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 ...
쓴맛 없고 향 좋은 오이 개발 위한 유전정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농림생물자원학부 교수 연구팀이 이기범 충남대 교수, 송기환 세종대 교수와
공동
으로 국내외 69개 오이 유전자원으로부터 쓴맛과 향기 성분을 분석해 오이 육종에 활용할 수 있는 유전정보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푸드 케미스트리' 온라인판에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샐러드나 절임 등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