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뉴스
"
데
"(으)로 총 18,038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진우 IBS 단장, 훔볼트 연구상 수상…정밀 나노의학 확립 공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최초로 증명해 초정밀 생체 진단에 성공했고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팬
데
믹 시기에는 초고속 코로나 진단 기술 ‘Nano PCR’을 개발했다. Nano PCR은 유엔(UN)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 달성에 기여해 UN 학술 영향력 성공 사례로도 선정됐다. 현재 천 단장은 IBS에서 나노의학 연구단을 ... ...
극한 환경에도 작동하는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집약적 차세대 컴퓨팅 시스템과 액상 공정 기반의 전자소자를 대량 생산하는
데
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사이언스 & 테크놀로지’에 17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소 공정을 이용한 ZrO2 막 광패터닝 프로세스 개념도와 제조된 ZrO2 ... ...
위암 환자 맞춤형 치료 구현될까…3D 바이오 프린팅 '오가노이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검증하기 어렵다. 위암의 병리학적 특징과 종양을 둘러싼 복잡한 환경 등을 모사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한계를 넘기 위해 위암 환자에서 유래한 오가노이드와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실제 위암 혈관 구조와 환경을 완벽하게 재현한 VOM(혈관화된 오가노이드 모델)을 제작했다. ... ...
뇌세포가 '켜지고 꺼지는 것' 추적하는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4.01.24
건강한 사람과 다양한 뇌 및 대사 질환 환자의 뇌세포 억제 수준을 비교하는
데
pPDH 항체를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예 교수는 "이 기술을 이용하면 '뇌가 세포를 끌 수 없거나 평소보다 더 빨리 또는 늦게 끄면 어떻게 될까?', '뉴런 억제가 다른 질병에서는 어떤 역할을 할까?' 등 많은 질문의 답을 ... ...
유전자 치료로 11세에 처음 소리 들었다…"정상 청력 회복"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OTOF 돌연변이는 내이 달팽이관에 있는 유모(有毛)세포에서 뇌로 소리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을 파괴한다. 전세계 약 20만 명이 OTOF 돌연변이로 인한 난청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모세포는 소리의 강약을 구분하고 소리를 뇌에 전달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나온 건 아니다. 따라서 조수라발핀을 잘 통제해서 쓰면 CRAB로 인한 죽음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현재 조수라발핀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박테리아와 항생제(인간)의 싸움에서 결국은 박테리아가 이길 것이라고 말하고 실제 그런 쪽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 ...
ETRI,
데
이터 폭증 해결 광원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광원 기술을 활용하여 국내·국제 특허를 출원했다. 국내 광부품업체에 기술이전해
데
이터센터 및 5G/6G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3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된 광통신 학술회의 ‘OFC’에서 발표됐다. 같은 해 국제학술지 ‘IEEE JLT’에 ... ...
"에너지 음료 마시면 수면장애 위험 증가…섭취 조절 필요"
연합뉴스
l
2024.01.23
그룹보다 수면 시간이 30분 정도 적었다. 또 섭취 빈도가 늘수록 잠자다 시간과 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었다. 불면증은 매일 마시는 그룹에서 남성 37%와 여성 55%에게 나타났으나 가끔 또는 전혀 마시지 않는 그룹에서는 남성 22%와 여성 33%가 불면증을 보였다. 수면 시간이 6시간 미만인 ... ...
英 핵융합 실험장치 'JET'40년 만에 해체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원들은 미래 핵융합 발전소가 안전하고 재정적으로 실행 가능한지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특히 삼중수소를 없애 폐로 내 부품을 차세대 원자로에 재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23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 ...
국내 첫 유전자가위 영상화…"체내 이동·효과 즉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시간 등 최적의 조건을 찾아 유전자 가위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지르코늄-89와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특히 간경화 치료를 목적으로 진행됐다. 간경화에 악영향을 주는 콜라겐의 증식을 억제하도록 고안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활용했다. 이 유전자 가위와 지르코늄-89를 합성한 후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