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둑
농도
도적
강탈
효력
세기
도인
d라이브러리
"
강도
"(으)로 총 1,387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연상되는 우직한 방법이다. 하지만 성과가 있다. 예를 들어 1초를 주기로 자극 펄스의
강도
를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하면 무언가가 손가락을 감싸 쥐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최근에는 벨크로나 사포 같이 거친 표면을 만지는 느낌이나 피부를 탁탁 건드리는 듯한 느낌을 주는 자극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파악하라!걸음걸이도 열쇠가 될 수 있어요. 사람마다 다리 모양과 근육
강도
, 힘줄의
강도
가 달라 서로 다른 걸음걸이를 갖거든요.걸음걸이를 측정할 때 중요한 건 다리의 각도예요. 우선 한쪽 다리를 앞으로 내딛었을 때 허리와 이루는 각도를 재요. 여기에 발 길이와 정강이 길이, 무릎 높이와 발목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에너지는 32배 정도 증가하지요. 규모 5.8의 지진은 TNT 폭탄 50만 톤을 동시에 터뜨리는
강도
랍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히로시마에 떨어졌던 핵폭탄의 25배 위력이에요.사실 지진이 발생해도 땅이 흔들리는 시간은 그다지 길지 않아요. 경주 지진의 경우 땅이 흔들린 시간은 10초 이내였고, 2011년 ... ...
[교과연계수업] 한반도가 흔들~, 한반도가 깜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발생하지 않았답니다.Q4 규모 5.1과 5.8은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지진 규모는 지진의
강도
를 나타내는 단위에요. 지진 규모가 1.0 늘어날 경우 에너지는 32배만큼 커져요. 규모 5.1과 5.8은 약 11배의 에너지 차이가 나지요. 즉 전진보다 본진이 11배 크고 강했다는 뜻이랍니다.Q5 우리나라 건물은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발생하지 않았답니다.Q4 규모 5.1과 5.8은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지진 규모는 지진의
강도
를 나타내는 단위에요. 지진 규모가 1.0 늘어날 경우 에너지는 32배만큼 커져요. 규모 5.1과 5.8은 약 11배의 에너지 차이가 나지요. 즉 전진보다 본진이 11배 크고 강했다는 뜻이랍니다.Q5 우리나라 건물은 ... ...
Part 2. 바닷속에서 유물을 발굴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묻혀 있는 유물을 꺼내기 위해선 먼저 붓으로 흙을 조심스럽게 쓸어내야 해요. 유물은
강도
가 약해져 있는 상태라 흙속에서 빼기 위해 작은 힘만 줘도 쉽게 깨질 수 있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진도 앞바다 해역이 주로 *개흙으로 이뤄져 있다는 거예요. 약간의 움직임만으로도 흙이 쉽게 흩어져 물을 ... ...
Part 5. 자동차, 자연으로 돌아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지붕을 만드는 연구를 성공시켰답니다. 탄소섬유는 강철에 비해 5분의 1 정도로 가볍고
강도
는 10배 이상 강한 재료지요. 이 탄소섬유의 재료는 나무에서 얻어지는 ‘리그닌’이에요. 나무의 줄기 속에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들이 모인 ‘목질부’가 있어요. 리그닌은 목질부를 구성하는 물질 중 ... ...
Part 3. 나무 건축, 과연 안전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만든 판을 주로 사용해요. 이렇게 만든 판은 콘크리트와 철을 대신할 수 있을 정도로
강도
가 높아진답니다. ➋ 불에 쉽게 타지 않을까?물질이 불에 타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해요. 즉 공기가 충분하면 불이 잘 붙지요. 하지만 건축 재료용 나무는 강하게 압축했기 때문에 속에 공기가 거의 없답니다. ... ...
Part 2. 세계 곳곳 나무 고층 건물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하지만 종합연구동은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보의 접합부에 철물을 댔어요.
강도
를 높이면서 효율적으로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지요.국립산림과학원 재료공학과 이상준 박사는 “이번에 건설된 산림유전자원부 종합연구동은 우리나라 목조건축 기술을 총집합해서 만든 결과물”이라며, ... ...
Part 3. 전자 심판으로 더욱 흥미진진한 2016 리우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때렸는지를 측정해 1~100의 숫자로 전광판에 표시한다. 체급에 따라 점수로 인정되는
강도
가 다르다.]바로 측정해서 바로 확인한다! 양궁예전에는 화살이 점수의 경계선에 꽂힐 경우 사람이 특수 확대경으로 보고 점수를 판정했어요. 그래서 관객과 선수들은 점수를 확인하는 동안 떨리는 마음으로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