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민"(으)로 총 1,9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빛의 속도로 달리면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6살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기차를 타는 상상을 했어요. 그러다 그 기차 안에서 손거울로 자신의 얼굴을 비춰보면 어떻게 될까 생각했지요. 여기서‘ 아인슈타인의 거울’이라 불리는 사고 실험이 탄생했답니다. 빛의 속도로 달리는 동안에도 빛이 얼굴에서 반사돼 거울로 갔다가 다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됐다”며 “국내 의생명과학기술을 발전시키고 바이오산업을 활성화시켜 궁극적으로 국민 보건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연차별로 번식이 가능한 모체 영장류를 들여와 검역과 사육, 번식 기술을 확립하고, 실험에 필요한 영장류를 사육하기 위한 건강 모니터링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때문이다. 조언 공학자는 나라 먹여 살리는 직업 김 학부장은 처음에는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위해 무기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하고 화학생물공학부에 진학했다. 하지만 공부를 하면서 사람을 해치는 무기를 만들기보다는 세계 인류를 이롭게 하는 무언가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더 강해졌다 ... ...
- 혈중알코올농도에 대한 과학적 쟁점 4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1월 9일 끝내 숨졌다. 안타까운 그의 사고로 음주 운전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달라는 국민청원은 4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의 동의를 얻었고, 법무부는 음주운전 범죄를 엄벌하겠다는 약속을 내놨다. 음주운전 처벌 기준을 재정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는 물론이고 과학적인 분석이 필수다.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우리가 다 함께 누리는 슈퍼컴퓨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며 “이름에 걸맞게 국민 모두가 슈퍼컴퓨터의 혜택을 고루 누릴 수 있도록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누리온은 슈퍼컴퓨터 연산 능력의 한계로 연구에 제약이 있었던 대규모 연구는 물론이고 기업의 신제품 개발 및 시장분석,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덕분에 미국인의 PFOS 노출은 가파르게 감소했습니다. 2년마다 진행되는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혈중 PFOS를 측정한 결과, 그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입니다. 그러나 미국에서만 이 물질의 사용을 줄인다고 해서 전 세계적인 오염을 줄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국내에서도 혈중 PFOS 농도가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영역을 넘어 환경, 사회 영역까지 포함한다. 보전해야 할 영역도 환경을 넘어 계층 통합, 국민 건강, 자원의 안정적 확보 등 넓은 의미의 영역에 해당한다. 아직 태어나지 않은 미래 세대에게 지금을 살아가는 현재 세대는 어떤 평가를 받게 될지 고민해보자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호롱이의 죽음은 동물원 폐지 주장으로까지 번졌습니다. 호롱이가 사살된 날 청와대 국민 청원에는 동물원을 폐지해달라는 글이 올라왔고, 10월 18일 청원 마감까지 총 6만4757명이 서명했습니다. 일각에서는 호롱이가 평생 인간의 욕심으로 만들어진 동물원의 좁은 우리에 갇혀 있었고, 인간의 관리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화학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공대 박사후과정을 지냈으며 현재 국민대 응용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Interview "할 수 있다고 믿었기에 해냈다" _조인하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화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10월 3일 오전 3시쯤, 연구실로부터 전화가 왔다. 원래 아놀드 교수의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2018 러시아 월드컵 조별예선에서 FIFA 랭킹 1위인 독일을 우리나라가 무찔러 전 국민을 환호하게 했었죠? 독일뿐만 아니라 FIFA 랭킹 상위권 팀 대다수가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FIFA 랭킹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었습니다. 사실 FIFA 랭킹 산정 방식에 대해선 꾸준히 문제 제기돼 왔었는데요. 201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