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킨토시
mac
소아복
맥킨토시
진맥
검맥
맥락
d라이브러리
"
맥
"(으)로 총 424건 검색되었습니다.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동아리 활동에서 '조류 탐사반'을 만들 생각입니다. 새에 대해 학생들에게 말할 '
맥
'을 찾았거든요. 여행을 좋아해 유럽을 많이 다녔지만 우리나라만큼 아름다운 곳은 없었습니다. 이번 탐사에서도 이를 확인했고요,고봉수학교에서 생물반을 맡고 있는데, 생물실에 새 박제 20여개가 먼지에 쌓인 채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문자는 사람의 말을 시공간을 초월해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정해진 부호다. 그래서 문자는 모양이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컴퓨터의 부호체계(코드)란 우리가 사용하는 문자를 컴퓨터가 알아 볼 수 있는 숫자로 바꾸어 같은 모양으로 인식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보내는 사람이 ‘가’라고 써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누가 외계인인지 겉으로는 전혀 구별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영화는 클라이
맥
스로 치닫는다.영화는 외계인을 이데올로기라는 이름으로 인간을 획일화해 비인간적으로 만드는 사회주의자나 매카시스트로 빗대고 있다. 그 시대의 정치 상황을 반영한, 아주 훌륭한 SF걸작으로 손꼽힌다.최근에 ... ...
4. 우주개발의 원천 로켓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그러나 1961년 연구소가 해체되면서 이러한 로켓 연구는 중단돼 버렸다.다음 로켓 개발의
맥
을 이은 곳은 학교였다. 인하공과대학에서 병기공학과 교수와 학생들이 IIT0-2A를 개발한 것이다. 그때가 1959년11월19일이다. 1962년에는 인하대에 우주과학연구회가 발족 돼 9월에 4대의 소형 로켓을, 10월에 ... ...
목소리로 건강 체크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즉 '1분에 몇 회가 정상'이라는 식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청진이 양의학의 기본이듯 진
맥
역시 한의학 진단의 출발점이다.용어설명류머티즘열 : 몸의 조직이나 세포 사이를 메우는 결합조직에 염증이 발생하는 증상. 용혈성(溶血性) 연쇄상구균이 원인이다. 관절 심장 신경계 등에서 발생한다 ... ...
5 음향-음압과 주파수의 하모니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귀에 15분의 1-26분의 1초 간격을 가진 동일 음자극을 주면 오른쪽 음과 왼쪽 음 사이의
맥
놀이 현상 때문에 α파 형성이 촉진돼 명상 효과를 쉽게 얻도록 한 것이다. 이 장치는 뇌파지도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됐다.오늘날 음향학의 발전으로 오디오 기기나 실내 음향 설계 기술은 날로 발전하고 있다.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12경
맥
은 안으로는 장부에 속하고 밖으로는 전신 사지 관절에 연결된다"고 했다. 즉 경
맥
은 유형 무형을 포함한 인체의 내외 상하로 연결된 기혈순환의 통로로서 인체 각 조직, 기관에 필요한 영양수송과 원할한 생체기능 유지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단위임에 틀림없다 ... ...
노벨상 '속성재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있으면 좋겠다는 목소리가 높다.고등과학원은 김영삼대통령의 세계화 전략과 그
맥
을 같이한다. 경쟁력있는 연구 분야를 집중 투자해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세계 속에 내세울만한 연구 기관이 한반도에 있다면 많은 연구자들이 한국으로 몰릴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연구 부수 효과는 매우 클 ... ...
명주잠자리의 별난 생태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잡아먹기 위해서 팔랑팔랑 날아다닌다. 이것을 잡아보면 예쁘고 투명한 그물모양의
맥
을 갖는 날개를 가지고 있다. 전등에 날아들기도 하는데, 이때는 앞을 향해 날아다니는 명주잠자리가 유충 때는 뒷걸음질 치는 성질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탈바꿈에 의해서 이들의 행동이 바꾸어진 것이다 ... ...
2 왓슨과 크릭, 이중나선 구조 발견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생산해낼 수 있게 되었다.또한 DNA 염기서열을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들이 1977년 알란
맥
삼(Allan Maxam)과 월터 길버트(Walter Gilbert), 프레데릭 생거(Frederick Sänger)와 동료들에 의해 각각 개발됨으로써 유전자 연구는 본격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단순히 염색체를 세거나 유전자 변이를 확인하고 교배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