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답
정답
해답
해소
해결
해법
d라이브러리
"
정해
"(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말라고 말합니다. 설사 장애물이 소망보다 크더라도 그것을 인정하고 다른 소망을
정해
그것을 위해 노력하면 된다고 말했죠.수학 잘하게 도와주는 마음가짐이 있다!조 교수님은 “어려운 문제를 푼다고 수학을 잘하게 되는 것이 절대 아니다”라며 “수학을 잘하려면 ‘자기효능 감’이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선정되면 어린이과학동아 기사와 온라인 클래스 ‘이달의 우주 날씨’에도 소개됩니다.
정해
진 답이 없는 과학동아천문대의 별빛미션! 나만의 독창적인 생각으로 별빛미션왕에 도전하세요! 2021년 1회 별빛미션 주제는 ‘소행성의 자원 탐사는 필요할까?’였어요.이번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1. 함수의 정의 두 변수 x와 y에 대해 x의 값이
정해
짐에 따라 y의 값이 오직 하나씩
정해
지는 관계가 있을 때 y를 x의 함수라고 합니다. 즉 함수는 x라는 입력값을 넣으면 y라는 출력값이 나오는 관계로 이해할 수 있어요. 그중 y=ax+b 꼴의 함수는 일차함수라고 불러요. 오른쪽 그림은 입력한 값을 두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고도 약 500km에서 원 궤도를 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중력 상수와 지구의 질량은
정해
져 있으므로 공식에 지구 중심으로부터 인공위성까지의 거리를 대입해 계산하면 속도는 초당 7.6km를 이동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K2 소총의 총알 속도인 초당 약 0.96km에 비교하면 굉장히 빠르죠? 차세대중형위성은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정해
진 시간 안에 꿀잼 영상 골라보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본책 28 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 한번 보기 시작하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게 되는 꿀잼 영상들!하지만 너무 오래 보면 곤란해요. 달콤이는 빵을 굽는 동안에만 영상을 볼 거예요. 어떤 영상을 보면 좋을까요? ...
[게임 디자인 씽킹] 컴퓨터와 대결하는 규칙을 설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누를 때 각각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코딩합니다. 2단계 움직이는 공 정의하기공은
정해
진 속도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만약 판이나 화면 경계면의 위나 아래에 부딪히면 튕겨나오게 합니다. 만약 공이 화면의 왼쪽 또는 오른쪽 경계면에 부딪히면 게임을 종료합니다. 3단계 공을 따라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하루 : 회로와 새벽까지 씨름하다 기숙사에서 잠을 깨는 시간은 첫 수업시간에 따라
정해
진다. 학생 대부분이 밤이나 새벽까지 뭔가를 하다가 잠들기 때문에 아침 일찍 기상하는 학생이 오히려 특이하게 보일 정도다. 수업은 이론 강의보다는 실습 강의가 재밌다. 당시 전산학과 학생들은 ... ...
[이달의 우주 날씨] 보름달아, 내 소원을 들어줘!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그런데 ‘대보름’이라는 이름처럼 이날 실제로 평소보다 큰 보름달이 뜰까요? 답은 ‘
정해
져 있지 않다’입니다. 달의 크기는 시시각각 달라져요. 물론 달의 실제 크기가 변하는 것이 아니라 달과 지구의 거리에 따라 크기가 달라 보이는 것이죠.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원보다 약간 찌그러진 타원 ... ...
[과학뉴스]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누설 위험성은?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배출했다고 밝혔다.하지만 월성원전 인근 일부 주민과 환경단체들은 방사성 물질이
정해
진 배출 경로가 아닌 지하로 장기간 누출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원전 부지 바깥에까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실제로 원전 내 배기구 주변에 설치된 지하수 관측정에서도 고농도의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위해 길고 짧은 여행을 합니다. 어떤 축삭은 무려 1m나 이동하기도 합니다.축삭은 이미
정해
져 있는 자신의 목적지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시냅스를 형성합니다. 축삭의 길 찾기 여정을 가능하게 한 비결도 바로 세포의 소통입니다. 여러 가지 ‘안내 신호(guidance cue)’를 통해 축삭을 이끕니다. 어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