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992년 8월 11일, 우리나라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의 연구원들은 영국 서리대학교에 파견됐어요. 그곳에서 위성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데 필요한 전문지식을 배웠고, 기술협력을 통해 우리별 1호를 완성하는 데 성공했지요. 그리고 마침내 1992년 8월 11일, 우리별 1호는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에서 아리안 4 발사체에 실려 우주를 향해 ... ...
- 입이 떡 벌어지는 빵집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떡과 빵을 같이 파는 거야! 더 이상 마을 끝과 끝을 오갈 필요도, 따로 떨어져서 살 필요도 없어!”분나와 분동이는 각자 가지고 있던 재료를 모두 합쳐서 재료가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했지요.“내가 가진 물 3/4병과 네가 가진 물 7/10병을 합쳐 보자. 쌀가루 2와 5/6통과 3과 3/4통도 합치고 ... ...
- 도면을 보고 건축물을 만들어 보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이번에는 도면을 보고 건축물을 만들어 보자. 층별로 필요한 브릭이 적혀 있어. 완성되면 어떤 모양일지 상상해 봐! 이제 모든 층을 합쳐서 쌓아보자. 맨 위에 보라색 깃발 2개를 꽂으면 멋진 성이 완성돼! 친구들도 브릭 건물을 만들고, 사용한 브릭의 합을 분수로 구해 봐! ...
- [출동, 슈퍼M] 알찬 계획표, 어떻게 만드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9시간은 9/24, 약분하면 3/8이에요. 밥 먹고 쉬는 시간에는 2시간씩 총 6시간, 하루의 만큼 2/8필요하지요. 잠자는 시간, 식사와 쉬는 시간으로 각각 하루의 3/8, 2/8만큼 사용하고 나면 나머지 3/8만큼이 공부와 독서, 운동, 취미 등에 쓸 수 있는 시간이에요. 공부, 운동, 취미 똑같이 1/3만큼! 나머지 ... ...
- 분수로 나타내는 ‘박자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한 마디에 8분음표(♪) 6개만큼의 박자가 연주돼야 하지요. 하지만 꼭 기준 음표만 넣을 필요는 없어요. 한 마디 안의 음표를 모두 더했을 때 정해진 박자가 나오면 되거든요! 예를 들어 박자표가 4/4라면, 한 마디에 들어가야 할 박자는 4분음표(♩) 4개만큼(1+1+1+1=4)이므로 총 4박자이지요. 4분음표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하고 현명한 오픈채팅 사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발생할 수밖에 없죠. 어린이 여러분은 이런 문제들을 미리 숙지하고, 현명하게 이용할 필요가 있어요. 오픈채팅 시 이것만은 조심! 먼저 오픈채팅에는 허위 정보가 많다는 것을 기억해야 해요. 오픈채팅에는 수많은 정보들이 넘쳐나지만, 그중 사실이 아니거나 과장된 정보도 많아요. 여러 사람이 ... ...
- 미스터리 손님이 알려주고 간 것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내가 힌트를 주겠소. 어떤 분수가 더 큰지 한눈에 알기 어려울 때는 ‘통분’이 필요하오.” 분모를 같게 만들기 위해서, 1/4의 분모와 분자에 2를 곱해 2/8를, 3을 곱해 3/12을 만들 수 있어요. 반대로 3/12을 분모, 분자의 공약수인 3으로 분모, 분자를 각각 나눠주면 1/4이 되지요. “분자와 분모에 ... ...
- [가상 인터뷰] 억센 털이 자라는 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통해 밝힌 연구라 연구팀이 제안한 치료법이 사람에게 적용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해. 마크심 플리커스 교수는 “노화 세포가 털을 재생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는 걸 보여주는 연구”라고 말했어 ... ...
-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생물학 연구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연구할 때는 생물학과 수학, 화학이 모두 필요해요. 특정 한 분야에 관심을 두는 건 좋지만, 그 분야만 공부해선 안 됩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는 게 중요해요. 오는 11월 열리는 포럼에서 동양의 노벨상 격인 ‘쇼 상’ 수상자가 선정될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최대한 외출을 삼가고 밖에 있을 땐 건물 안이나 지하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노력이 필요해요. 실내에 있다면, 전기 제품의 플러그를 제거하고 1m 이상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길 바라요.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통가 해저 화산 폭발로 지상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