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과학의 미래까지 생각해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살아야 하지 않을지 자문하기 시작했던 까닭입니다. 이런 연유로 외교부 산하의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협력단원으로 파라과이의 중고등학교에서 과학교사로 2년 2개월간 근무했습니다. 국제개발이라는 분야가 저에게 잘 맞을지 경험을 통해 알아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 ...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동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생각한 사람이라 평가했다. 그 업적으로 홍대용은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선정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지구가 돈다’는 생각은 홍대용이 조선 최초로 한 것도 아니었고, 더욱이 코페르니쿠스가 주장한 지동설과도 달랐다 ... ...
- [특집] 궁금해! 제로슈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C202309N002 콜라, 젤리, 쿠키, 아이스크림단 음식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집니다.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비만이 되거나 건강을 해칠까 봐 걱정되기도 하죠.이런 걱정을 줄여주는 제품이 있는데요. 바로 설탕을 뺀 제로 슈거입니다.최근 음료, 과자, 과일, 심지어는 약까 ... ...
- IMO 2023 그 뒷 이야기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IMO 2023을 위해 한국인 12명이 물밑에서 구슬땀을 흘렸습니다. IMO 문제선정위원인 김동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박사과정생과 코디네이션 부팀장 박성진 미국 예일대학교 박사과정생, 코디네이터 10명이 참가했는데요. IMO 주최 측에서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에서 대회가 열리자 수학 ... ...
- IMO 대표를 수학자로 이끈 결정적 순간수학동아 l2023년 09호
- 하버드대 대학원 수학과에는 한국인이 한 명도 없었어요. 학교 측에선 학생을 뽑을 때 한국 학생이 잘할 수 있을지 의구심을 가질 수 있지만, IMO라는 객관적인 근거가 있어 입학할 수 있었어요. IMO는 함께 수학을 공부하는 재미를 일깨워줬어요. 초등학교 4학년 때 교내 수학경시대회에서 88점으로 ... ...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수학동아 l2023년 09호
- 해를 거듭하면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 기후변화 감시기구가 올해 7월 중순까지의 온도가 역대 최고라는 관측 결과를 발표하자 UN본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은 “지구 온난화 시대가 끝나고 지구 열대화 시대가 시작됐다”라고 발표하기도 ...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올해 7월에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일반 제안서 관측(GO)’ 사이클 2 프로그램에 한국인 연구 책임자로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연구자들이 제임스 웹을 사용하는 방법은 세 가지인데, 그중 전 세계 연구자들이 지원하는 방법은 GO 프로그램이다. 제임스 웹을 운영하는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 ... ...
- [기획] 현대 물리학 ‘찐천재’에게 수여되는 아인슈타인 메달, 한국에 온 사연은?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일반 대중이 과학 연구를 잘 알고, 이해하는 것은 지극히(crucially) 중요하다”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과학이 과학계를 넘어 세상에 알려지는 것의 ... 아인슈타인 메달, 한국에 온 사연은?Part1. 아인슈타인 연구는 계속된다, 쭉Part2.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 ...
- [인포그래픽] 2023 신약 개발 키워드 30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부서를 설치하고, AI 기업과 협업을 통해 신약 개발에 AI를 적용하고 있다. 단백질손은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글로벌R&D분석센터 책임연구원은 “우리 몸의 생명활동을 조절하는 단백질을 이용한 생물학적제제가 현재 제약 트렌드”라고 설명했다. 당뇨병대한당뇨병학회는 “과식, ... ...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다양하고 흥미로운 실험들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Q.강동고는 2018년부터 한국과학창의재단-한양대와 연계해 STEAM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도입했습니다. STEAM이라는 용어가 낯선 학생들도 있는데요. 과학중점학교 등 다른 일반고와 구별되는 특징은 무엇인가요? STEAM 교육은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