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실
분실
loss
roast
ross
rosse
뉴스
"
로스
"(으)로 총 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체 리듬의 비밀이 더 궁금하다면?...영상으로 풀어보는 생체 시계
동아사이언스
l
2017.10.02
교수(68) 등 3명의 미국인 학자에게 돌아갔습니다. 2017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홀,
로스
바쉬, 영을 선정했다. - 2017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제공 생물은 낮에는 일을 하고 밤에는 쉬는 등의 고유한 생체 리듬을 갖고 있는데요, 졸음과 배고픔, 호르몬 분비 등이 모두 이런 일정한 주기성을 ... ...
[2017 노벨 생리의학상] 생체 리듬 제어 유전자 발견한 미국인 3명에 돌아가 (2보)
동아사이언스
l
2017.10.02
or Medicine 제공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제프리 홀 미국 메인대 교수(72), 마이클
로스
바흐 미국 브랜다이즈대 교수(73), 마이클 영 미국 록펠러대 교수(68)가 공동으로 선정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노벨위원회는 2일(현지 시간) 인간을 포함한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가 생체리듬을 따라 ... ...
LA 매혹적인 도시 사진
팝뉴스
l
2017.09.19
위에서 농장들이 만들어내는 무늬 같은 걸 보고 감탄하는 것이었어요.” 아트는 미국
로스
앤젤레스에 살면서 자신의 취미이자 전문분야인 항공촬영 기법을 사용하여 남들이 보지 못한 도시의 모습을 하나씩 기록하고 있다. 그의 앵글에 잡힌 도시는 수많은 건물과 도로가 교차하며 만들어낸 ... ...
인공지능이 흑백 사진을 컬러 사진으로 바꿀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08.31
Zhang 제공 인공지능이 흑백 사진을 컬러 사진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알렉세이 에프
로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교수팀이 ‘콘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해 흑백 사진에 색을 입히는 기술을 7월 30일부터 미국에서 열린 ‘시그래프 2017’에서 발표했어요. 콘볼루션 신경망은 인간의 ... ...
태양, 너도 평범한 별이었구나!
과학동아
l
2017.07.29
모든 항성의 자기장 주기는 회전 유체에서 전향력에 대한 관성력의 비를 나타내는 ‘
로스
비 수’에 반비례했다. 스트루가렉 연구원은 AFP와의 인터뷰에서 “태양의 자기장 주기를 결정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위성을 선택하고 발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사이언스지식IN] 폭염도 한파도 다 제트기류 때문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6.21
☞탁월풍? : 어느 위도 영역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우세하게 부는 바람 기상학자
로스
비가 1956년 타임지에서 강한 서풍 계열의 상층 바람을 ‘Jet stream’이라고 표현한 뒤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어요.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제트기류하면 고도 9~12㎞를 지나가는 상층 제트기류를 떠올립니다. ... ...
인공지능(AI)이 나만의 법률 비서 돼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2
확보하면 보다 정확한 변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해 미국 법률자문회사
로스
인텔리전스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대화체로 질문하면 연관된 판례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인 ‘리걸테크(Legaltech)’ 분야는 2019년까지 약 ... ...
남극의
로스
해 빙하, 중앙 부분부터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29
연구 결과는 지질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지올로지(Geology)’ 5월호에 게재됐다.
로스
해의 빙하는 중앙 부분부터 없어지기 시작해 현재의 해안선(대륙빙하와의 경계)과 평행한 방향으로 후퇴하다가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 극지연 ... ...
뇌 20배 이상 팽창…20나노미터 초미세구조까지 정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뇌 속 해마의 복잡한 신경망을 3차원으로 시각화 하는 데 성공했다. 2013년에는 칼 다이서
로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과 재미 과학자인 정광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팀이 쥐의 뇌에서 지방층을 없애 뇌를 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 교수팀은 지난해 박정윤 연세대 ... ...
태양 기후 결정하는 ‘태양 행성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3.28
태양 행성파의 존재를 학술지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 27일자에 발표했다. ‘
로스
비 파(Rossby wave)’라고도 불리는 행성파는 큰 길이와 폭을 가진 편서풍 파장을 의미한다. 약 상공 5㎞의 고도에서 부는 바람으로 거대한 공기의 흐름이 지구의 고기압·저기압, 날씨 등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