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게재
기입
끼워 넣기
추가
투입
뉴스
"
삽입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다양한 자극에 변신하는 궁극의 반도체 소재를 꿈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올라간다. 정대성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실은 반도체에 분자 스위치를
삽입
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분자 스위치가 주변 환경의 변화를 인식하면 에너지 준위나 형태가 바뀌고 반도체의 특성도 바뀐다. 반도체에 안정적으로 넣을 수 있다면 반도체가 주변 환경에 ... ...
몸 속에서 녹는 심장박동 조율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후 제거가 필요하다. 문제는 기존의 임시형 조율기는 몸 밖에 조작 장치가 있고 인체
삽입
형 전극이 피부를 관통하는 전선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지녔다. 이 때문에 전선을 통한 감염위험이나 환자가 자세를 바꿀 때 전극이 제위치를 벗어나는 위험성이 있다. 제거할 때도 몸 안의 전극을 제거하다가 ... ...
뇌질환 분석하는 유연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반응을 최소화하는 게 특징이다. 연구팀은 개발한 장치를 동물 모델에 직접 적용,
삽입
후 6개월까지 뇌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또 자유롭게 움직이는 쥐를 대상으로 한 광유전학 실험, 행동 실험이 가능했다. 이물 반응에 따른 아교세포 및 면역세포 발현이 기존 장치보다 ... ...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플라스마 양 실시간 측정 센서 개발
연합뉴스
l
2021.05.31
전압 균일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이 쓰이고 있지만, 공정을 멈추고 센서를
삽입
해야 해 실시간 측정이 어려웠다. 측정 이후 장비를 재가동하는 과정에서 공정 환경이 정상화되는 데 오랜 시간이 필요해 반도체 수율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다. 표준연 이효창·김정형 연구원 ... ...
실명 환자들, 광유전학으로 시력 일부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것이 단점이다. 뇌 내 특정 세포에 유전자를 전달해야 하고 이후 빛을 쪼이는 기기도
삽입
해야 한다. 주로 쥐나 영장류를 대상으로 실험에서 큰 효과를 보고 있으나 아직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잘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인간의 끝단 ... ...
삼성바이오 위탁생산하는 모더나 백신 핵심 mRNA 기술 왜 확보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5.23
이용하면 그만큼 감염병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DNA백신과 달리 유전체에
삽입
이 일어날 위험도 없다. mRNA 백신 아이디어는 거의 30년 전 나왔지만 최근 생명과학과 유전자 관련기술의 발전으로 mRNA 백신의 개발 속도가 빨라졌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 노바백스 백신은 기존에 활용됐던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학부생 인턴, 코로나19 최전선의 연구실을 경험하다
2021.05.17
바이러스 유전체를 박테리아 플라스미드와 같이 조작하기 쉬운 전달체로 옮긴 후 유전자
삽입
‧삭제‧치환 등 원하는 변이를 일으켜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변이 유전체는 DNA 상태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유전체는 RNA이므로, 세포 외 전사(in vitro transcription) 기술을 이용하여 DNA로부터 RNA ... ...
1000년 전 ‘똥’이 지금 ‘똥’보다 훌륭…장내미생물 38%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1.05.13
늘리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코스틱 교수는 ”비슷한 박테리아종에 고대 게놈을
삽입
해 실험실에서 고대 미생물을 부활시킬 방법을 찾고 있다“며 “실험실에서 고대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다면 미생물의 생리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고대 분변 ... ...
동물과 식물의 사랑 고백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01
사람의 뇌파를 읽고 문장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은 뇌 피질 위에 전극을
삽입
해 뇌파를 측정하는 장치 ‘ECoG’을 사용했습니다. 이 실험에는 간질 치료를 위해 이미 뇌에 전극이 있는 사람들의 동의를 얻어 진행됐습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몇 명의 어른과 아이가 방에 ... ...
세포 담은 스텐트로 재협착 부작용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혈관전구세포를 스텐트에 부착했다. 이후 스텐트를 혈관이 막힌 토끼와 돼지 등 동물에
삽입
하고 효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세포를 넣은 스텐트는 혈관 주변에서 내벽이 다시 자라나는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혈관이 협착되며 손상됐던 부위의 세포도 다시 자라나는 것이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