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
본인
자아
확신
자체
나
당사자
뉴스
"
자신
"(으)로 총 6,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먹고 싶은 정도를 복합적으로 계산해 식욕을 파악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험자들은
자신
의 상태를 0부터 100 사이의 숫자로 선택해 응답했습니다. 그 결과 두 번째 전기 자극 실험에서부터 식욕, 배고픔, 배부름, 포만감 항목의 그래프에서 간격이 벌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실험 그룹의 피실험자들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
2024.10.12
짐처럼 느껴졌다. 실제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들의 경우 다른 이유보다 스스로가
자신
을 하찮고 쓸모 없고 사랑 받을 가치가 없는 존재로 여길 때 그 괴로움에서 도망치기 위해 (살기 위해) 죽음이라는 탈출구를 선택한다는 견해들이 있다. 우리는 다 연약하고 휩쓸리기 쉬운 마음을 가지고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인공지능과 물리학의 경계를 허물다
2024.10.11
공정성과 역사적 진실을 중시하는 겸손한 연구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힌턴 교수는
자신
의 회사가 구글에 인수된 후 구글에서 연구를 이어가다가, 2022년 돌연 퇴사했다. 퇴사 이유로 그는 인공지능 기술이 인류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인공지능 연구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을 ... ...
"AI 과대광고에 당했나"…노벨 과학상 몰아준 AI 둘러싼 논쟁 점화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조나단 프리차드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천체물리학부 교수는
자신
의 소셜미디어(SNS) X에 "노벨이 AI 과대광고에 당한 것 같다"고 썼다. 그는 "말문이 막힌다"며 "나도 기계학습과 인공신경망을 좋아하지만 이것이 물리학의 발견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도 말했다. 사빈 ... ...
[동물do감] '오페라하우스' 설계하는 이 새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제공. 바우어새는 ‘낭만적인 숲속의 정원사’로 불린다. 암컷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자신
의 보금자리를 장식한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바우어새의 보금자리는 시각적으로 아름다울 뿐 아니라 음향 효과까지 갖춘 구애 공간이다. 존 A. 엔들러 호주 디킨대 생명·환경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길이의 짧은 분자로 가공되며 이 짧은 분자를 siRNA(small interfering RNA)라고 한다. siRNA는
자신
과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mRNA와 22nt의 연속적인 결합을 이룬 후 효소가 mRNA를 절단하며 이를 통해 mRNA의 발현을 강하게 줄이게 된다. 이와 같은 RNA 간섭 현상을 이용해 여러 치료제가 개발 중이다. 특히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AI를 이용한 단백질 구조예측 기술은 이미 막을 수 없는 거센 물결이다. 알파폴드가
자신
의 기술을 공개하지 않는다고 해도 이미 세계 각국의 단백질 구조예측 기술이 궤도에 오른 상태다. 석 교수는 "지금 가장 중요한 건 기술 자립"이라고 말한다. 언젠가 딥마인드가 알파폴드의 그 어떤 데이터도 ... ...
[노벨상 2024]
자신
이 토대 닦은 AI 위험성 경고한 '딥러닝 대부' 힌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튜링상'을 받았다. 하지만 지난해 힌턴 교수는 AI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며 퇴사했다.
자신
이 발전시킨 AI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으로 돌아선 것이다. 올해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보도된 인터뷰에서 힌턴 교수는 인류를 위협할 존재로 AI를 보는 이유와 관련해 "AI에게 목표를 주면 해결책으로 ... ...
상처 입으면 몸 합체하는 해파리들…소화관도 융합돼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모두 배설물을 내보냈다. 배출이 동시에 이뤄지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빗해파리는
자신
의 조직과 다른 동종의 조직을 구별하는 '동종 인식 메커니즘'이 부족할 수 있다"며 "두 개체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이 생존 전략으로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추가 연구를 ... ...
빛으로 만든 열쇠, 중요 정보 안전하게 잠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과 색상(파장)으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카이랄은 물체나 구조가
자신
의 거울상과 겹치지 않는 성질로, 빛의 편광을 조작하거나 특정 방향으로만 빛을 통과시킬 때 활용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플랫폼은 특히 빛의 스핀에 따라 빛을 다르게 흡수하는 원형 이색성이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