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셀
쎌
샐
쌜
세포
뉴스
"
cell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부와 운동, 기억력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은?
2016.06.22
바랍니다. 단, 4시간 후에 운동하는 것, 잊지 마세요! 한편 이 연구는 세계 3대 학술지 셀(
Cell
)의 자매지인 ‘커런트 바이올로지’ 최신호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 ...
“신경세포의 ‘축삭’ 끝 부분에서 단백질 자체 생산”
2016.06.19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뇌 신경망 형성과 관련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최초로 발견했다. 정호성 연세대 의대 교수(사진)팀은 크리스틴 ...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권위지 ‘셀(
Cell
)’ 16일자 온라인판에 먼저 게재됐다. ... ...
구석구석 신호 보내는 ‘스몰셀 기지국 SW’ 개발
2016.06.02
은 도심이나 빌딩, 가정에서 두루 활용이 가능한 4세대 이동통신(LTE) 기반의 소형셀(Small
Cell
) 기지국 제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도심지역에서는 스마트폰 데이터 속도가 현저히 느려진다. 기지국 당 정해진 데이터 용량을 사람들이 나눠 ... ...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06.01
성장이 6% 가량 떨어졌다. UC샌디에이고 연구팀이 만든 오가노이드 모습. -
Cell
Stem
Cell
제공 정리하면 지카바이러스가 소두증을 유발하고, 특히 뇌의 발생 과정에 치명적이라는 것은 실험적으로 증명됐다. 그럼에도 지카 검거까지는 아직은 길이 멀다. 예를 들어, 지카가 산모에서 태아로 넘어가는 ... ...
몸 속 단백질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2016.05.30
UNIST 제공 우리 몸 속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단백질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를 이용하면 신약 개발 과정 시간을 단축 ...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물학 분야 권위지인 ‘셀 리포트(
Cell
Reports)’ 24일자에 실렸다. ... ...
다운증후군 만드는 단백질, 다른 지적 장애와도 관련 있다
2016.05.23
민경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왼쪽)팀은 ‘DSCR1’ 단백질이 뇌 신경세포(뉴런)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제자리를 찾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바이올로지 저널(Journal of
Cell
Biology)’ 23일자에 게재됐다. ... ...
효모 세포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6.05.13
의 세포벽을 제거하면 동그란 모양(왼쪽 아래)으로 바뀐다. 휴지기 상태인 - MPI f. Molecular
Cell
Biology and Genetics 제공 관찰 결과 가장 먼저 나타난 변화는 산성화였다. 세포 내부의 pH가 낮아지자 소기관이 멈추고 단백질들이 뭉치기 시작했다. 최종적으로는 액체 상태였던 세포질이 고체로 변하면서 ... ...
우리 집 강아지가 살찌는 이유…‘유전자’ 탓?!
2016.05.04
유독 비만인 이유가 유전자 ‘POMC’ 때문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학술지 ‘셀 대사(
Cell
Metabolism)’ 4일자에 발표했다. 사람이 아닌 개의 비만 유전자가 규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온순한 성격의 레브라도 리트리버는 남다른 식욕으로 유명하다. 주인의 양육 방식과 크게 관련 없이 3마리 중 1~ ... ...
[토요일에 만난 사람]“AI, 고차원 계산기일 뿐… 결국 사람의 판단이 가장 중요”
동아일보
l
2016.04.09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야마나카 신야(山中伸彌·54) 교토대 iPS세포연구소 소장은 ‘셀(
cell
)’지에 결정적인 논문을 낸 때가 2006년이었다. 6, 7년 만에 성과를 인정받은 것이다. “그럼에도 기초과학은 한 국가가 가진 역량의 종합판입니다. 실용화까지 100년도 걸릴 수 있다는 각오로 임해야 합니다. ... ...
암세포 비정상적으로 성장시키는 ‘미싱 링크’ 첫 발견
2016.03.17
것이며 매우 의미있는 발견”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학술지 ‘셀(
Cell
)’ 자매지인 ‘디벨롭멘탈 셀(Developmental
Cell
) 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