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스페셜
"
세
"(으)로 총 3,525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 5G 만능주의의 환상…아니어도 되는 자율주행차·스마트팩토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3.23
데 필요한 표준 통신 기술로는 현재 5G와 ‘웨이브’가 서로 경쟁중이다. 5G는 전
세
계 3
세
대 이동통신 시스템 표준 규격을 논의하는 이동통신 단체 간 공동 연구 프로젝트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진영이 밀고 있다. 웨이브는 국제 커넥티드카 표준 주파수로 부상한 5.9GHz 대역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게임체인저가 될 '입자'로봇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3
여러 작업에서 요구되는 최상의 모양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
세
계 최초로 개발된 '입자' 로봇의 모습은 아래 동영상에서 볼 수 있다. 유튜브 주소: https://youtu.be/wrDdqjQvaoA ... ...
바이오젠, 유력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 임상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신경과학연구단장팀은 환경과 스트레스 등이 뇌
세
포 DNA의 사용법을 바꾼다는 ‘후성유전학’ 개념을 이용해 임상 환자로부터 역으로 치매 메커니즘을 밝히고 있다. 후성유전학적 변형을 막는 방식으로 치료제 개발로도 연결될 수 있다. 류 단장은 "근본 원인 ... ...
초미
세
먼지 30~80% 北·中·러 등에서 유입, 고농도 발생 이유·조건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일부 지적도 나왔다. 또 이날 행사에 공개된 일부 기관의 성과 중에는 미
세
먼지 범부처 프로젝트 사업단이 출범하기 전 얻은 성과들을 포함하고 있어 성과 부풀리기라는 지적도 나온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게놈이 맡았다. 루이 15
세
를 깜짝 놀라게 했던 큼직한 크기를 부여한 칠레딸기는 18
세
기 초 칠레에서 프랑스로 가져간 종이다. 이 딸기는 야생이 아니라 현지인들이 재배한 딸기로 보인다. 수백 년에 걸쳐 과일이 커지게 품종을 개량했다는 말이다. 남미에서는 유럽인이 들어오기 수백 년 전부터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⑥ 쉬운 것은 어렵고, 어려운 것은 쉽다
2019.03.19
엔트리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식의 코딩 교육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로 했다. 당장
세
번째 교육부터 그렇게 진행했는데, 예상한 바와 같이 아이의 몰입도는 훨씬 높아졌음을 느낄 수 있었다. 뭔가 만들고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는 게 보다 이끄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성의 힘이다. 아직은 ... ...
가장 달콤하고 저렴한 혈압약은 '꿀 같은 낮잠'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 그리스 불라 아스클레피온병원 심장내과 연구팀은 평균 62
세
인 고혈압 환자 212명에게 낮잠을 자게 하고 24시간 동안 혈압 변화를 관찰했다. 잠에 들기 전 이들 평균 혈압은 약 129.9㎜Hg으로 정상 수치보다 상당히 높았다. 건강한 사람의 혈압은 이완시 약 80㎜Hg 미만, 수축시 ... ...
성층권에 탄산칼슘 뿌려 햇빛 차단...올여름 지구온난화 방지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평가된다. 영국 구호단체 크리스천에이드는 지난해 12월 “2018년 기후변화로 발생한 전
세
계 10대 자연재해 피해액이 최대 947억 달러(약 107조 원)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지구 온난화 1.5도’ 보고서는 비행기를 통해 황산화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침을 든든히 먹으면 정말 살이 빠질까
2019.03.12
밝혀졌다. 저녁형인 사람은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게 건강한 수면 습관이다. ‘
세
끼 가운데 아침을 잘 먹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100년 된 과학상식 역시 모든 사람에게 해당하지는 않는 것 같다. 인간 생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 그 이유도 밝혀지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 ...
잘못된 습관이 뇌를 치매에 걸리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백색질이 1.5배 가량 더 많이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회백질은 뇌에서 신경
세
포의
세
포체가 모여 있는 부분이며, 백색질은 신경섬유가 모여 있는 부분이다. 연구를 이끈 시몬 콕스 박사는 "회백질이나 백색질 변화가 뇌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것이 아닌, 복잡한 사고와 인지, 기억을 담당하는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