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황금비가 구현된 무량수전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현대 과학 기술을 총동원해 만든 최신식 판고가 여러 문제점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형
편
이다. 기후에 약한 목판을 5백년 이상 단지 자연적 처리만으로 보존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최근 컴퓨터를 활용한 시물레이션을 통해 전면에 있는 담장의 높이마저 미세 기류에 매우 좋은 영향을 주고있다는 ... ...
아날로그와 디지털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정보 하나에 8비트의 디지털 정보를 대응시키면 정보량이 8배 증가하게 돼 영화 한
편
을 기록하는데 8개의 테이프가 필요하게 된다.디지털 신호는 수학적으로 1과0을 의미하는데, 물리적으로 0V와 5V 또는 N과 S등 분리된 두 양으로 지정된다. 디지털 신호는 연속적인 신호를 잘게쪼개 단속적인 신호의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이미지를 스캔받아 사용한다.그렇다면 누구라도 이왕이면 포지티브 필름을 사용하는
편
이 좋지 않을까. 하지만 포지티브 필름은 아마추어가 사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가장 큰 문제는 포지티브 필름의 경우 빛의 관용도가 작다는 점이다. 즉 정확하게 빛의 양을 노출하지 않으면 사진이 제대로 ... ...
마음의 괴로움이 병을 부른다 '심신의학'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런 이상한 병이 있느냐 없느냐에 대한 논쟁부터 하고 있는 형
편
이다. 미국에서의 어떤 조사에서는 의사의 25%가 이 병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의심스럽다고 대답했다.한 예를 들어보자. 17살 된 어떤 여고생은 공부와 운동을 잘하는 모범생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피로감 때문에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이처럼 무지개는 물방울을 몰고 다니는 비와 관련돼 있다.비가 온 뒤 맑게 개인 하늘의 한
편
에는 무지개가 찬란한 모습을 드러낸다. 하늘에 걸린 활과 같다고해 천궁(天弓)이라고도 했던 무지개는 색깔만큼이나 많은 이야기들을 갖고 있다. 구약성서에 따르면 신이 더 이상은 홍수로 생명체를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빨리 지나가므로 방사선 조사량이 적어서 X선 촬영 때처럼 큰 피해를 입지 않는다. 한
편
우주탐사선이 밴 앨런대를 통과하면 기기가 오작동될 가능성도 있다. 또 우주도시나 우주정거장을 지구궤도 위에 건설한다면 당연히 방사선 밀도가 높은 밴 앨런대를 피해서 건설해야 할 것이다.밴 앨런대가 ... ...
중세) 절대불가침의 영역 적십자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받아들여졌다.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충돌인 중세의 십자군 전쟁이 재현된 모습이다. 한
편
십자가는 ‘공포’를 상징하는 세계적인 아이콘으로 기억되기도 한다. 바로 세계대전을 일으킨 독일의 나치문장 때문이다.사실 나치문장에 대한 기원은 정확치 않다. 다만 이 문장은 고대부터 사용돼 왔으며, ... ...
플레밍 신화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연구활동을 어수선하게 만드는 언론에 대해 본능적인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고, 한
편
으로 페니실린 생산량에 비해 수요가 엄청나게 늘어날 것을 염려하고 있었다. 이 덕분에 신문들은 플로리팀에 대해서는 쓸 수가 없었고 대신 플레밍을 페니실린 뒤에 우뚝 선 ‘유일한’ 천재로 묘사했다. 물론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는 이상한 상상도 해 볼 수 있지 않을까.닫힌 우주, 열린 우주,
편
평한 우주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상상도 가능하다. 정사면체를 평면에 통과시키면 삼각형이 그 크기를 점점 줄여 점이 되고 정사면체를 뒤집어 통과시키면 점이었던 모양이 점점 커져 삼각형의 크기가 ... ...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1876-1956)가 시리우스 동반별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백색왜성에서 나오는 빛이 적색
편
이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입증됐다.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그동안 블랙홀 등 우주의 신비를 푸는데 커다란 역할을 했다. 그러나 모든 것이 들어맞는 것은 아니었다. 또 그가 도입한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