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FFA·Fusiform Face Area)’이라고 부른다. 이 부위의 존재는 1997년 fMRI 촬영으로 처음
확인
됐다. 하지만 이 부위에 있는 신경세포들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원리로 얼굴을 구분해내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것이 없다. 뇌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 세포’가 얼굴을 인식하거나 기억하는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본 과학자들을 한 번 더 흥분했다나? 수많은 친구들이 모여 사는 번식지에서 배우자를
확인
하거나 새끼를 찾을 때 우리가 다양한 음성신호를 사용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대. 그런데 물속에서도 소리로 의사소통 한다는 건 이제야 알았나 봐. 남빙양에 크릴이 많다곤 하지만 넓은 바다에서 그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만나 과학 분야 자문도 해줬다. 이 웹툰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좋아하는 마음을
확인
한다는 설정이다. 박 이사장은 “대중이 과학기술에 관심을 가지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돼야 상상력과 창의력도 발휘될 여지가 크다”며 “이런 기반을 조성하는 게 재단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위를 촬영했다. 디스플레이 액정으로 촬영한 사진을
확인
한 그가 ‘비늘개미’가 맞다고
확인
했다. “이 군체는 이미 월동 준비가 끝난 것 같아요. 움직임이 눈에 띄게 느려진 상태에요.” 동 씨는 핀셋으로 개미를 네 마리쯤 집어 새끼손가락만한 튜브에 넣었다. 그는 “무리하게 채집하면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정밀한 관측을 통해 신세계 호가 마고가 말한대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엄마, 중간에 진로를 바꾸는 바람에 목적지에 도착하기까지 100년은 더 걸릴 거래요.”하림이 뉴스를 보고 엄마에게 말했다. 하림은 적성에 맞지 않는 엘리트 기술학교를 나와 당분간 엄마와 둘이 살고 있었다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않은 경우에는 결핵피부반응검사(TST·Tuberculin Skin Test)를 통해 결핵균 감염 여부를
확인
한 뒤, 음성(결핵에 감염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나올 경우 접종이 가능하다. TST는 결핵균 진단시약(PPD)을 피부에 주사한 뒤 48~72시간에 피부반응을 판독하는 검사다. TST 검사에서 피부에 특정 반응이 나타나지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돌아갔다. 2차원 신물질을 이용해 양자컴퓨터에 필요한 큐비트(Qbit) 구현 가능성을
확인
했다. 큐비트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아니라 둘이 섞여 있는 중첩 상태로 양자컴퓨터에서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다. 우수상 두 팀 가운데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은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부산대 팀이 차지했다.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직원들의 업무 효율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클라우드로 위치
확인
, 장애물은 로봇이
확인
어라운드와 에어카트는 첨단 로봇 기술을 일상생활로 가져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두 로봇 개발을 총괄한 네이버랩스 관계자는 “어라운드의 경우 기능적인 면에서는 비슷한 로봇이 전 세계적으로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없다. 결국 오류를 고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 이 오류가 완벽하게 해결됐는지
확인
할 방법도 없다. 얼굴 인식 AI가 사생활을 침해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중국 정부는 13억 명이나 되는 전체 인구를 3초 만에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익명에 가려진 사생활이 더 이상 보장받지 못할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지수의 경우 연구자의 전체 논문 중에서 특정 피인용횟수를 넘긴 논문이 최소 몇 개인지
확인
할 수 있다. 질적 성과지표의 활용도 향상 연구에 참여한 김민우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경영관리팀장은 “고피인용도 논문 수는 최상위 수준의 연구에만 해당하는 만큼 모든 연구자들에게 공통적으로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